본문 바로가기

조건절

법 : 영어의 원리 12 - 혼합 가정법 Q : '혼합 가정법'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A : 이제까지 우리가 검토한 '4 종류의 가정법 (가정법 현재, 과거, 과거완료, 미래)' 문장들은 [ if 조건절 + 결과절]의 구조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혼합 가정법'이란 이런 전형적인 구조를 갖추지 않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크게 2개의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번 원리 8에서는 이것들을 차례로 검토하겠습니다. (1) 조건절과 주절 모두 가정법으로 되어 있지만 종류가 섞여 있는 것 (2) 가정법 절과 다른 법으로 된 절이 섞여 있는 것 혼합 가정법 1: 가정법 절 (clause)들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Q : 어떤 것들이 이런 종류의 예가 되나요? A : 예를 들면, 다음 문장에서 대표적인 예를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조건절에 'had eaten'..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11 - 가정법 미래 가정법 미래 조건절의 형태 1 : 현재형 동사들 Q : 조건절에 조동사 'will'을 넣어 가정법 미래를 나타낼 수 있나요? A : 가정법의 조건절에 will을 넣을 수 없습니다. 다음 문장 a처럼 직설법 문장의 주절에 will을 넣어 미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장 b처럼 조건절에 will을 넣으면, 어법에 맞지 않기 때문에, 문장 c처럼 will을 빼고 현재단순형을 사용해야 합니다. a. He will stop by your office tomorrow. b. (X) If he will stop by your office tomorrow, you can discuss ... c. (O) If he stops by your office tomorrow, you can discuss ... Q ..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8 - 가정법의 종류와 가정법 현재 '가정법 (subjunctive mood)'의 분류와 2가지 문제점 Q : 영어의 '가정법 (mood)'은 '가정법 현재, 가정법 과거...' 등과 같이 나눠지는데, 이것은 무엇을 근거로 분류한 것인가요? A : 우선 간단하게 말씀드린다면, 가정법의 종류는 가정법 문장에 나오는 '동사의 시제'에 기반을 두고 나누어진 것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몇 가지 함정이 있기 때문에, 영어의 가정법을 학습할 때는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음 문장들은 가정법에 해당하는 문장들인데, 이 문장들이 어떤 가정법에 해당하는 것인지 한번 검토해보시기 바랍니다. a. If you present your ticket, there will be no charge for this service. b. If I ..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4 - 판단법의 기본 원리 '판단법'이란 무엇인가? Q : '판단법'이란 용어는 아주 생소한데, 이것은 무엇을 가리키나요? A : 다음 글은 수능 영어시험에 실제로 출제되었던 지문의 일부입니다. 이 구문에 조동사가 나오는 문장이 2개 있습니다. 과연 이 문장들은 무슨 '법 (mood)'의 문장인가요? 예를 들면, will be의 구문은 '미래'를 나타내는 직설법 문장인가요? Object identification rarely occurs in isolation. (물체를 구분하는 것은 개별적으로는 잘 되지 않는다) Face perception seems to work the same way. (얼굴의 인식도 같은 것으로 보인다) Notice that when seen as part of a face presented in Figu..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13 - 조건절의 변형 조건절의 변형 Q : 조건절의 변형이란 무엇인가요? A : 다음의 예문처럼 전형적인 조건절은 [ If + 주어 + 동사 ...]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조건절이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조건절의 변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a. If I had eaten lunch at noon, I would not be hungry now. Q : 예를 들면, 어떤 것이 있나요? A : 다음 문장 b-d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문장 b는 앞에도 조건절이 있고, 또 뒤에도 있습니다. 뒤에 나오는 조건절은 [if that (주어) + is (동사) + possible (보어)]의 구조로 이루어져있습니다. b. If one does something wrong, he must accept his er..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9 -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 조건절의 특성 : was와 were를 구분하는 방법 Q : 영어의 동사형은, 예를 들면, 동작동사 work의 경우 다음과 같이 12개의 형태가 있습니다. 여기에 과거에 해당하는 것으로 위에 빨강색으로 표시한 것처럼 모두 4개의 형태가 있는데, 이것들을 모두 가정법 과거의 조건절에 이용할 수 있나요? A : 모두 조건절에 사용할 수 없고, 다음 예문처럼 '단순형'과 '진행형' 2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2개는 '가정법 과거완료'에서 따로 취급하기 때문에, 다음에 나오는 원리 6에서 다루겠습니다. a. If it rained, I would not climb the mountain. b. If it was raining, I would not climb the mountain. Q :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