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initive

부정사 : 영어의 원리 9 - 완료 부정사 '부정사'의 시간 1: 본동사가 가리키는 시간과 같은 경우 Q : '완료 부정사'를 설명하는데, '시간 (time)'이 왜 필요한가요? A : 완료 부정사는 '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설명하기 이전에 먼저 '부정사의 시간'에 대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부정사는 '원형 동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사의 모습을 바꿀 수 없습니다. 즉, '시제'를 표시하여 '시간'을 나타낼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부정사에 시간적인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대화 a에서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형용사 glad 뒤에 부정사 to meet가 있는데, 이것이 가리키는 시간을 맞춰보십시요. 이 부정사는 어떤 시간을 가리키나요? 즉, '과거에 만났던 것'이 기쁘다는 말인지, 아.. 더보기
부정사 : 영어의 원리 8 - 대 (代) 부정사 '대 (代) 부정사'란 무엇인가? Q : '대 (代) 부정사'란 용어는 처음 들어보는 것인데, 이것은 어떤 부정사인가요? A : 영어에서 이것이 사용되는 예들은 아주 흔히 볼 수 있는데, 구조가 너무 간단하기 때문에 소홀히 취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확인해보기 위해서 다음 퀴즈를 풀어보기로 합니다. 다음 대화문의 마지막에 나오는 빈칸에 적절한 표현을 찾아보십시요.. Quiz a. M : Will you do me a favor? W : What is it, Mr. Baker? M : Please take these books to the teachers' room. W : Sure. Anything else? M : Yes. In fact, I've got some work to do here in.. 더보기
부정사 : 영어의 원리 7 - 원형 부정사 '원형 부정사'를 선택하는 기준 : 사역 동사 / 지각 동사 Q : '원형 부정사'는 to를 사용하지 않고, 원형동사만 사용하는 부정사인 것은 잘 압니다. 그런데 이것을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A : 이것은 주로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로 이루어진 제 5형식의 문장에서 '목적보어'로 사용되는데, 이것을 사용하는 것은 '(본)동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 문장 a가 어법에 맞지 않는 이유는 앞에 'makes'가 있는데 목적보어로 일반 부정사 to do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대신 문장 b처럼 원형부정사 'do'를 사용해야 합니다. a. (X) The trainer makes the dolphins to do all these really neat things. b... 더보기
부정사 : 영어의 원리 2 - 부정사를 왜 '준동사'라고 하는가? '부정사'를 '준동사 (準動詞)'라고 부르는 이유 : 증거 1 Q : 부정사를 '준동사'라고 부르는 사람들 많이 있는데,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영어에는 '준동사'란 품사가 없는데..... A : 예, 영어에는 이런 품사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준동사'란 용어를 많이 쓰는데, 이것은 부정사가 '동사'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의 영어의 원리 1에서 우리는 부정사가 '명사, 형용사, 부사'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렇게 부정사는 품사가 변화해도 '동사'의 성질을 유지하기 때문에 '준동사'란 말을 쓰는 것입니다. Q :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A : 예를 들면, 다음 문장 a를 보시면, 동사로 fly가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문.. 더보기
부정사 : 영어의 원리 1 - '부정사'란 무엇인가? '부정사'의 정의 (定義 definition) Q : '부정사'를 어떻게 정의해야 하나요?. A : 영어는 물론 다른 외국어를 학습할 때 어떤 개념을 보면, 우리는 보통 '형태 (形態 form)'나 '용법 (用法 usage)'을 이용해서 정의하려는 성향이 있습니다. 왜냐면, 실제 예문을 통해서 사례들을 손쉽게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정의는 '형태'와 '용법'이 다수가 있을 때 종종 비효율적인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부정사의 종류가 5개나 되는데, 그중 하나인 [to + 원형 동사]와 같은 형태를 이용해서 부정사를 정의한다면, 다른 4개의 형태를 만날 때마다 다시 정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어떤 개념을 정의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2가지가 있는데, .. 더보기
부정사 : 부정사 소개 우리말에 영어의 '부정사 (不定詞 Infinitive)'는 해당하는 문법적인 요소가 없기 때문에 영어를 학습할 때 아주 어려운 분야 중에 하나입니다. 부정사는 동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혼동할 수 있는 여지가 많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데, 'Grammar 4 : 부정사 (不定詞 Infinitive)'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1. '부정사(infinitive)'란 무엇인가? 2. 부정사를 왜 '준동사'라고 부르는가? 3. 부정사의 형태는 몇 개 있는가? 위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먼저하고, 그 뒤에 다음과 같은 12개의 원리를 통해서 부정사를 마스터 할 수 있게 꾸며질 것입니다. 4. 부정사 구분하기 10.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5. 일반부.. 더보기
태 : 영어의 원리 3 - 수동태는 '언제, 어디에' 쓰이는가? 수동태는 언제 쓰는가? 영어 글의 약 30%가 수동태로 되어 있다는 말이 있듯이 수동태는 영어에서 많이 쓰이는 동사형이다. 그런데 원칙적으로 언제 수동태를 쓰고, 언제 능동태를 써야 한다는 문법적인 제약은 없다. 예를 들어 다음 지문을 보자. The Nambawi is one of the oldest traditional winter hats in Korea. At first, only men and women of the upper classes wore it. Later, it was worn by the commoners, and still later only by women. The hat protects the head and forehead from freezing winds and has 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