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ood

법 : 영어의 원리 7 - 판단법 (의지 / 능력) 조동사 will의 3번째 의미 A : 영어에서 의미를 파악하기 가장 어려운 조동사가 무엇인지 아십니까? Q : 대부분의 조동사들이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하나를 지적하기 곤란한데.... A : 영어 조동사들의 의미를 나타낼 때 각 조동사와 의미가 일치하는 간단한 우리말이 없기 때문에 번역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면, must, ought to, should가 '의무'를 나타낼 때 이 조동사들의 의미적인 차이를 우리말로 쉽게 나타낼 수 없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조동사에 이런 점이 있지만, 가장 구분하기 어려운 조동사가 will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 지문에 나오는 will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석해보십시요. a. Today is March 6th. The Walk of Harmony will take ..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6 - 판단법 (행위) Q : '판단법'에서 '행위'란 행동에 대해서 내리는 어떤 판단을 가리키나요? A : 이것은 여러가지 행동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판단한 바를 나타냅니다. (1) 허가 (2) 의무 (3) 금지 '허가'를 나타내는 조동사 : may, can Q : 영어에 '허가'만 나타내는 조동사가 따로 있나요? A : 좋은 질문입니다. 영어에 이것만 나타내는 조동사는 없습니다. 영어의 조동사는 그 종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조동사를 '허가'를 나타낼 때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비록 같은 조동사라도 문맥에 따라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예문 a-b에 나와 있는 may를 비교해보시면 이런 실태를 잘 알 수 있습니다..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11 - 가정법 미래 가정법 미래 조건절의 형태 1 : 현재형 동사들 Q : 조건절에 조동사 'will'을 넣어 가정법 미래를 나타낼 수 있나요? A : 가정법의 조건절에 will을 넣을 수 없습니다. 다음 문장 a처럼 직설법 문장의 주절에 will을 넣어 미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장 b처럼 조건절에 will을 넣으면, 어법에 맞지 않기 때문에, 문장 c처럼 will을 빼고 현재단순형을 사용해야 합니다. a. He will stop by your office tomorrow. b. (X) If he will stop by your office tomorrow, you can discuss ... c. (O) If he stops by your office tomorrow, you can discuss ... Q ..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10 -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과거완료 조건절의 독특한 특징 Q : 가정법 과거완료의 조건절이 갖는 독특한 특징이란 무엇인가요? A : 영어의 과거형은 다음 표에 빨강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동사 work의 경우 모두 4개 있습니다. 이 4개 가운데 다음 문장 a-b처럼 '단순형'과 '진행형'은 하나의 절만으로도 어법에 맞는 문장이 됩니다. a. (O) I worked at the factory. b. (O) I was woking at the factory. 과거완료형은 다음 문장 c처럼 하나의 절만 쓰면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이 됩니다. 문장 d의 before 이하처럼 과거완료형의 시간적 기준점이 될 수 있는 표현이 와야 어법에 맞는 말이 됩니다. ('Grammar 1 : 시제 - 과거완료형과 과거완료진행형 참고) c...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8 - 가정법의 종류와 가정법 현재 '가정법 (subjunctive mood)'의 분류와 2가지 문제점 Q : 영어의 '가정법 (mood)'은 '가정법 현재, 가정법 과거...' 등과 같이 나눠지는데, 이것은 무엇을 근거로 분류한 것인가요? A : 우선 간단하게 말씀드린다면, 가정법의 종류는 가정법 문장에 나오는 '동사의 시제'에 기반을 두고 나누어진 것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몇 가지 함정이 있기 때문에, 영어의 가정법을 학습할 때는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음 문장들은 가정법에 해당하는 문장들인데, 이 문장들이 어떤 가정법에 해당하는 것인지 한번 검토해보시기 바랍니다. a. If you present your ticket, there will be no charge for this service. b. If I ..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15 - wish의 가정법 wish의 직설법 Q : 동사 'wish'는 다음의 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주로 인사말이나 소원을 비는데 사용하는 것 아닌가요? a. I wish you a Merry Christmas! b. Could you wish your father a happy birthday for me? A : 예, 직설법에서 인사말이나 소원을 비는데,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특정한 날을 기념하는 인사말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음 예들처럼 일상에서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c. M : This is the final round. Remember, believe in yourself. You're one great boxer. M : Got it. Wish me luck. d. We wish you the b..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13 - 조건절의 변형 조건절의 변형 Q : 조건절의 변형이란 무엇인가요? A : 다음의 예문처럼 전형적인 조건절은 [ If + 주어 + 동사 ...]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조건절이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조건절의 변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a. If I had eaten lunch at noon, I would not be hungry now. Q : 예를 들면, 어떤 것이 있나요? A : 다음 문장 b-d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문장 b는 앞에도 조건절이 있고, 또 뒤에도 있습니다. 뒤에 나오는 조건절은 [if that (주어) + is (동사) + possible (보어)]의 구조로 이루어져있습니다. b. If one does something wrong, he must accept his e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