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nglishplaza

2016. 2. 11. 오늘의 글은 SNS의 대표적 주자였던 Twitter가 처한 어려움에 대한 기사의 일부입니다. 이 글에서 특히 눈여겨 보아야 할 구조는 동격절과 이것의 선행사가 떨어져 있는 부분입니다. Twitter flatlines from The Economist Three interrelated problems have been hampering Twitter’s growth. (3개의 서로 얽힌 문제들이 트위터의 성장을 방해해왔고, 지금도 방해하고 있다 ) flatline : 끝장나다, 죽다 hamper : 방해하다, 훼방놓다 have been hampering은 현재완료진행형으로서 '과거에 시작되어 지금까지 방해했고, 지금도 방해한다'를 의미함. (English Plaza for Grammar의 시제와 상 영어의.. 더보기
2016학년도 33번 빈칸추론 문제 문제의 지문에 대한 정보 1. EBS 교재 : 연계되지 않은 문제 2. 출전 : 이 문제의 지문은 아래와 같이 Vanada Shiva가 편집한 Manifestos on the Future of Food and Seed에 나오는 글로서 아래 부분에서 빨간 사각형으로 표시한 문단 중 일부를 발췌한 글임. 글의 도입부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eed improvement has long been a public domain and government activity for the common good. 분석 1 보통 주제문은 문단의 제일 처음에 나오는데, 이 문장은 첫번째 나오지만, 주제문이 아니라, 뒤에 나올 주제문을 유도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주어가 상당히 길어 보이지만,.. 더보기
2016. 2. 10. Only China can stop North Korea from becoming a full nuclear power from The Economist 오늘의 글은 북한이 얼마전 수소폭탄 시험을 한 이후 또 다시 미사일을 발사하여 우리는 물론 전세계를 위협하고 있는데, 북한의 핵문제와 미사일에 대한 해결 방안에 대한 기사 중 일부입니다. The only thing is for China to threaten to pull the plug on the fragile economy of the hermit kingdom by ordering its banks and companies to stop doing business there. (단 한가지 방법은 중국이 자국의 은행과 회사들이 그곳에서 사업을 하는.. 더보기
시제 : 영어의 원리 14 - 미래완료형의 시간적 기준점 Q : 미래완료형은 상당히 드문 형태인데, 이 형태가 영어에 많이 쓰이나요? A : 다른 형태들에 비해 그리 흔하지는 않지만, 다음 수능 영어시험 지문에 나오는 will have collected를 통해서 볼 수 있듯이, 이런 형태가 분명히 쓰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f you keep a daily journal, you will find yourself writing down thoughts that you carry with you all day. These thoughts include not just conscious ones. They also include subconscious thoughts that you were not even aware you were thinking u..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