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의 원리

2016. 2. 11. 오늘의 글은 SNS의 대표적 주자였던 Twitter가 처한 어려움에 대한 기사의 일부입니다. 이 글에서 특히 눈여겨 보아야 할 구조는 동격절과 이것의 선행사가 떨어져 있는 부분입니다. Twitter flatlines from The Economist Three interrelated problems have been hampering Twitter’s growth. (3개의 서로 얽힌 문제들이 트위터의 성장을 방해해왔고, 지금도 방해하고 있다 ) flatline : 끝장나다, 죽다 hamper : 방해하다, 훼방놓다 have been hampering은 현재완료진행형으로서 '과거에 시작되어 지금까지 방해했고, 지금도 방해한다'를 의미함. (English Plaza for Grammar의 시제와 상 영어의.. 더보기
2016. 2. 7. (Sapiens) 오늘의 글은 출판 이후 전세계로부터 많은 반향을 일으키는 Yuval Harari의 '사피언스 (Sapiens)'의 원문 가운데, 인지 혁명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특히 '언어 (language)'가 다른 인종을 제치고 세계를 정복하게 만들어준 동인이었다는 것을 설명하는 제일 끝 부분은 우리에게 언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Over the past 10,000 years, Homo sapiens has grown so accustomed to being the only human species that it's hard for us to conceive of any other possibility. (지난 1만년이 넘게, 호모 사피언스는 유일한 인종인 것에 너무 익숙하게 성장하여, 우리.. 더보기
시제 : 영어의 원리 14 - 미래완료형의 시간적 기준점 Q : 미래완료형은 상당히 드문 형태인데, 이 형태가 영어에 많이 쓰이나요? A : 다른 형태들에 비해 그리 흔하지는 않지만, 다음 수능 영어시험 지문에 나오는 will have collected를 통해서 볼 수 있듯이, 이런 형태가 분명히 쓰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f you keep a daily journal, you will find yourself writing down thoughts that you carry with you all day. These thoughts include not just conscious ones. They also include subconscious thoughts that you were not even aware you were thinking u.. 더보기
시제 : 영어의 원리 13 - 미래진행형 구분하기 Q : 미래진행형은 '진행'을 나타내기 때문에, 동작동사만 가능하고, know나 like와 같은 상태동사로는 이런 형태를 만들 수 없지요? A : 그렇습니다. Q : 그러면 미래진행형을 나타낼 때도 미래단순형과 마찬가지로 will이나 be going to를 사용하나요? A : 미래진행형에서도 다음과 같이 2가지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e will be studying at the library when you come back. b. He is going to be studying at the library when you come back. 다만 앞의 영어의 원리 12에서 공부한 바와 같이 will과 be going to는 때때로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서 반드시 구분해서 써야 합니.. 더보기
2016. 2. 5. America and the European Union have reached a deal on data protection from the Economist Naivety and paranoia mark the European Union’s attitude to espionage. The EU does not have a spy agency, nor does it have access to the intelligence collected by its members and their allies. That has advantages : EU decision-makers need not worry about keeping secrets (because they do not know any) ; nor mu.. 더보기
시제 : 영어의 원리 12 - 미래를 나타내는 표현들 Q : 영어 동사의 시제에는 '현재'와 '과거'만 있지 '미래'는 없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주장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이것이 맞는 말인가요? A : 저도 그런 말을 들었습니다. 예를 들면, 프랑스어에는 미래형 동사가 있지만, 영어에는 미래형 동사가 없기 때문에, 그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언어의 시스템 을 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오는 말입니다. Q : 언어의 시스템이란 무엇인가요? A : 영어의 원리 1에서 언어에 '성 (sex)'을 표현하는 것을 '성 (gender)'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언어 중에는 성을 표시해야 하는 언어와 그렇지 않은 언어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성 (gender)'를 반드시 표현해야 하는 대표적인 언어로 .. 더보기
2016. 2. 4. Google’s parent company can do as it pleases, at least for now from The Economist Alphabet’s shares have surged, helping it overtake Apple to become the world’s largest listed company by market value. Today Alphabet is a giant advertising company with the potential to become a giant in other sectors as well—although exactly which ones, no one is yet sure. Almost all of the $75 billion in revenu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