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 : 영어의 원리 1 - '법 (mood)'이란 무엇인가? 영어 동사에 나타나는 문법적인 정보 1 이 장에 오기까지 검토해본 영어의 동사가 담고 있는 문법적인 정보들을 종합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제 (Tense) 동사에 나타나는 가장 대표적인 정보는 ‘시제 (時制 Tense)’이다. 예를 들어, a의 makes는 ‘현재’를 나타낸다. 한편b의 made는 ‘과거’를 나타내고, c의 will make와 d의 am going to make는 모두 ‘미래’를 나타낸다. a. Just thinking of it makes me happy. b. I made such mistakes. c. I will make dinner tonight. d. I am going to make a new dish tonight for the party. 2. 상 (Aspect.. 더보기
태 : 영어의 원리 11 - 수동태와 전치사 수동태의 수식 : [by + 행위자] 수동태의 문장을 수식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수동태의 문장은 [by + 행위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수식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먼저, 문장 a의 by the man처럼 ‘행위자’가 나오면 동사는 ‘동작’을 나타내기 때문에 동사를 수식할 수 있는 much로 수식해야 한다. b처럼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는 very를 쓰면,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이 된다. a. (O) She was much surprised by the man. b. (X) She was very surprised by the man. 그런데 [by + 행위자]의 구문이 없는 경우는 달라진다. c처럼 by 구문이 없는 경우는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very로 수식할 수 있다. .. 더보기
태 : 영어의 원리 10 - 5형식 문장의 수동태 직접목적어만 수동태의 주어 문장 a의 call과 같이 [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5형식 문장에 쓰이는 동사의 경우 b처럼 목적어만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다. c의 sea chanties (뱃노래)처럼 목적보어가 명사라도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d-e에서는 elect의 경우를 볼 수 있다. a. They call the songs sea chanties. b. → (O) The songs are called sea chanties. c. → (X) Sea chanties are called the songs by them. d. My classmates elected me president of my class. e. → (O) I was elected president.. 더보기
태 : 영어의 원리 9 - 4형식 문장의 수동태 2개의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는 경우 1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는 대상은 목적어이기 때문에 [주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4형식 문장에 나오는 2개의 목적어는 원칙적으로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런 제약이나 변화 없이 2개의 목적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쓸 수 있는 동사는 a의 forgive와 같은 동사로 극히 한정되어 있다. a. God forgives us our sins. b. → (O) We are forgiven our sins by God. c. → (O) Our sins are forgiven us by God. forgive와 같이 2개의 목적어가 있는 동사를 보통 '수여동사'라고 하는데, 이런 동사가 있는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는 경우.. 더보기
테 : 영어의 원리 7 - 복합동사의 수동태 복합 동사의 수동태 1 영어의 동사는 보통 하나의 요소로 이루어져있다. teach, learn과 같은 것들이 이런 예들에 속하지만, 모든 영어의 동사가 이처럼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영어의 동사 중에는 다른 낱말과 결합하여 쓰이는 경우들이 있는데, 이런 동사들을 '복합동사'라고 한다. 복합동사는 구성과 문법적 역할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1. 전치사적 (prepositional) 복합동사 2. 구절 (phrasal) 복합동사 3. 구절 전치사적 (phrasal-prepositional) 복합동사 전치사적 복합동사와 구절 복합동사는 2개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구절 전치사적 복합동사는 3개의 요소로 이루어져있다. 그런데 전치사적 복합동사와 구절 복합동사는 형태가 유사해.. 더보기
태 : 영어의 원리 5 - 수동태와 타동사 수동태로 쓸 수 없는 타동사 목적어가 있는 타동사는 보통 수동태로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모든 타동사들이 여기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영어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타동사 have가 수동태로 쓸 수 없는 타동사의 대표적인 예이다. 그래서 문장 a는 문장 b처럼 수동태로 바꿀 수 없다. 또한 c의 resemble도 이런 유형에 속하는 동사로 d처럼 수동태로 전환시킬 수 없다. a. The man have a good idea. c. → (X) A good idea is had by the man. b. Consumer behavior resembles actions in a play. d. → (X) Actions in a play are resembled by consumer behav.. 더보기
태 : 영어의 원리 4 - 수동태가 가능한 동사 형태가 같아 혼동하기 쉬운 동사 영어에서 수동태로 쓸 수 있는 동사는 목적어가 있는 '타동사'이다. 예를 들면, punish와 같은 동사는 타동사이기 때문에, 문장 a의 경우처럼 punish와 같은 능동태는 물론 같은 문장에 있는 were punished와 같이 수동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문장 b의 hit도 타동사이기 때문에 c의 got hit와 같은 유사수동태도 만들 수 있다. a. Most parents punish their children in the same ways that they were punished by their parents b. One day a truck hit a pedestrian on the street. c. She got hit by a car while she w..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