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1 동사 핵심편

테 : 영어의 원리 7 - 복합동사의 수동태

 

 

복합 동사의 수동태 1

 

 

영어의 동사는 보통 하나의 요소로 이루어져있다. teach, learn과 같은 것들이 이런 예들에 속하지만,

모든 영어의 동사가 이처럼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영어의 동사 중에는 다른 낱말과 결합하여 쓰이는 경우들이 있는데, 이런 동사들을 '복합동사'라고 한다. 

복합동사는 구성과 문법적 역할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1. 전치사적 (prepositional) 복합동사

2. 구절 (phrasal) 복합동사

3. 구절 전치사적 (phrasal-prepositional) 복합동사

 

전치사적 복합동사와 구절 복합동사는 2개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구절 전치사적 복합동사는 3개의 요소로 이루어져있다.

 

그런데 전치사적 복합동사구절 복합동사 형태가 유사해서 그 차이점을 발견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다음 문장 a-b의 call on (방문하다)과 call up (호출하다)가 바로 이런 예들에 속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것들을 서로 구분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특징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a. The policeman called on the lady.

b. The policeman called up the lady.

 

c. (O) The policeman called on her.

 

d. (X) The policeman called up her.

e. (O) The policeman called her up.

 

문장 a-b처럼 목적어가 the lady와 같은 일반명사일 경우 2개의 복합 동사는 모두 목적어 앞에 나와야 한다.

 

그러나 목적어가 her와 같은 대명사일 경우에는 사정이 달라진다.

call on과 같은 복합동사는 '전치사적 복합동사'이기 때문에 반드시 목적어 앞 나와야 한다.

그래서 문장 c가 어법에 맞는 문장이 된다.

 

그러나 '구절 복합동사' 이와 가른 특징을 보여준다.

문장 d처럼 up이 대명사 목적어 her 앞나오면 이 문장은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 된다.

대신 문장 e처럼 목적어 뒤에 up이 나와야 어법에 맞는 문장 된다.

 

그러면 이런 복합동사들의 수동태는 어떻게 만드는가?

비록 2개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런 동사들도 하나의 동사처럼 취급하여 수동태를 만들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 다음은 이런 복합동사들의 수동태의 예들이다. 

 

1. 전치사적 (prepositional) 복합동사

다음 문장 f의 refer to과 같은 복합동사는 하나의 동사로 취급하여 g처럼 수동태를 만들 수 있다. 

 

f.  Philosophers often refer to this feeling as "parental love." 

g. → This feeling is often referred to as "parental love" by philosophers.

 

이런 동사에는 다음 같은 것들이 있다.

 

ask for, believe in, call on, care for, deal with, break into, long for, look at, object to, part with,
refer to, laugh at, send for 등

 

 

2. 구절 (phrasal) 복합동사
문장 h의 call up과 같은 ‘구절 복합동사’도 하나의 동사처럼 취급하여 문장 i처럼 수동태를 만들 수 있다.

 

h. She called me up
i. → I was called up by her.

 

이런 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catch up, set up, find out, drink up, turn on, give in, bring over, call off, look up, put down,

put away, take out, bring out, put up 등

 

3. 전치사적 구절 복합동사
문장 j의
cut down on(줄이다)처럼 3개의 요소로 이루어진 복합동사도 하나의 동사처럼 취급하여

문장 k처럼 수동태를 만들 수 있다.

 

j. We can cut down on the use of electricity. 

k. → The use of electricity can be cut down on by us. 

 

이런 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break in on, get away with, look down on, look forward to, look in on, look up to, stand up for,
check up on, come up with 등

 

 

복합 동사의 수동태 2

 

 

이제까지 검토해본 복합 동사는 [동사 + 전치사 + (전치사)]와 같은 구조를 가진 것으로 여기에는 주로

전치사가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런 형태 외에 명사 등과 결합한 복합 동사들도 있는데, 이것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준다.

 

1. 2가지 유형의 수동태가 가능한 복합동사
명사와 결합한 대표적인 복합동사로 take advantage of (이용하다)와 같은 것이 있는데,

이 동사는 문장 b-c와 같이 2가지 유형의 수동태를 만들 수 있다.

 

a. Some users take advantage of this privilege by sending spam mail. 


b. → (O) Advantage is taken of this privilege by sending
c. → (O) This privilege is taken advantage of by sending …

 

아래의 복합동사들은 a의 take advantage of처럼 2가지 수동태 모두 가능하다.

 

make use of, make much of, make a mess of, make room for, make mention of, take care of 등

 

 

2. 1가지 유형의 수동태만 가능한 복합동사
아래 문장 d의 pay attention to와 아래의 복합동사들은 e와 같은 경우만 수동태가 가능하다.

 

keep an eye on, put stress on, take pride in, take an interest in, bring a charge against 등

 

d. She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number of years. 

 

e. → (O)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number of years by her.
f. → (X) The number of years was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by her.

 

문장 g의 make a fool of (놀리다) 아래의 복합동사들은 i처럼 of 뒤의 명사만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다.

 

keep an eye on, put stress on, take pride in, take an interest in, bring a charge against 등

  

g. The students made a fool of the boy.


h. → (X) A fool was made of the boy by the students.
i. → (O) The boy was made a fool of by the students.

 

3. 부사가 있는 복합동사의 수동태
문장 j의 speak well of (칭찬하다)와 speak ill of (헐뜯다)같이 부사 well 또는 ill 등이 있는 복합동사는

k-l처럼 2가지 수동태 모두 가능하다.

 

j. The lady speaks well of the driver.


k. → (O) The driver is spoken well of by the lady.
l. → (O) The driver is well spoken of by the la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