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정사

부정사 : 영어의 원리 14 -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부정사에 '의미상 주어'가 필요한 이유 Q : 잘 아시는 것처럼 부정사는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문장을 구성하는 작은 요소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예를 들면, '부사' 역할을 하는 부정사에 '의미상 주어'가 있어야 한다는 말은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요? A : 부정사는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중에 하나가 되지만, 이것은 기본적으로 동사의 성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 그림과 같이 부정사 (to+원형동사) 앞과 뒤에 2가지 요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 Q :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주시면...? A : 예를 들어 다음 문장 a가 비문법적인 문장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 문장에는 be동사 are가 있는데, 이것을 보충해줄 '보어'가 없기 때문입니다. .. 더보기
부정사 : 영어의 원리 13 - 부정사의 특수한 용법 '부정사'의 '특수한 용법'이란 무엇인가? Q : 부정사의 '특수한 용법'이란 부정사가 어떻게 쓰이는 것을 가리키나요? A : 이것은 부정사가 다음과 같이 2종류의 의문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Q : 구체적인 예는? A : 다음 문장 a처럼 부정사 to invest our assets가 how같은 의문 부사와 함께 쓰이거나, 문장 b처럼 의문 대명사 what이 부정사 to do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a. We should know how to invest our asset. b. I don't know what to do for my life. 이제부터 차례로 이런 용법의 특징들을 검토하겠습니다. 부정사가 '의문 부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 Q : [의문 부사 + 부정사]로.. 더보기
부정사 : 영어의 원리 10 -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부정사의 명사 용법'이란 무엇을 가리키는가? Q : 부정사가 '명사적 용법'으로 사용된다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A : '영어의 원리 1 부정사란 무엇인가 ?'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부정사는 '품사가 정해져 있지 않은 말' 입니다. 그러나 품사가 무조건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이 아니닙니다. 부정사의 품사는 문장 속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가운데 하나로 압축됩니다. 그 중에서 부정사가 '명사' 역할을 하는 것을 보통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Q : 부정사가 어떤 문장 속에서 명사적 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아닌지, 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A : 다음과 같이 부정사가 3가지 용도로 사용될 경우 '명사'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문장에서 .. 더보기
부정사 : 영어의 원리 9 - 완료 부정사 '부정사'의 시간 1: 본동사가 가리키는 시간과 같은 경우 Q : '완료 부정사'를 설명하는데, '시간 (time)'이 왜 필요한가요? A : 완료 부정사는 '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설명하기 이전에 먼저 '부정사의 시간'에 대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부정사는 '원형 동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사의 모습을 바꿀 수 없습니다. 즉, '시제'를 표시하여 '시간'을 나타낼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부정사에 시간적인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대화 a에서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형용사 glad 뒤에 부정사 to meet가 있는데, 이것이 가리키는 시간을 맞춰보십시요. 이 부정사는 어떤 시간을 가리키나요? 즉, '과거에 만났던 것'이 기쁘다는 말인지, 아.. 더보기
부정사 : 영어의 원리 8 - 대 (代) 부정사 '대 (代) 부정사'란 무엇인가? Q : '대 (代) 부정사'란 용어는 처음 들어보는 것인데, 이것은 어떤 부정사인가요? A : 영어에서 이것이 사용되는 예들은 아주 흔히 볼 수 있는데, 구조가 너무 간단하기 때문에 소홀히 취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확인해보기 위해서 다음 퀴즈를 풀어보기로 합니다. 다음 대화문의 마지막에 나오는 빈칸에 적절한 표현을 찾아보십시요.. Quiz a. M : Will you do me a favor? W : What is it, Mr. Baker? M : Please take these books to the teachers' room. W : Sure. Anything else? M : Yes. In fact, I've got some work to do here in.. 더보기
부정사 : 영어의 원리 7 - 원형 부정사 '원형 부정사'를 선택하는 기준 : 사역 동사 / 지각 동사 Q : '원형 부정사'는 to를 사용하지 않고, 원형동사만 사용하는 부정사인 것은 잘 압니다. 그런데 이것을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A : 이것은 주로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로 이루어진 제 5형식의 문장에서 '목적보어'로 사용되는데, 이것을 사용하는 것은 '(본)동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 문장 a가 어법에 맞지 않는 이유는 앞에 'makes'가 있는데 목적보어로 일반 부정사 to do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대신 문장 b처럼 원형부정사 'do'를 사용해야 합니다. a. (X) The trainer makes the dolphins to do all these really neat things. b... 더보기
부정사 : 영어의 원리 6 - 분리 부정사 '분리 부정사'의 정의 (定義 definition) Q : '분리 부정사'란 무엇인가요? A : '분리 (分離)'라는 말은 '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분리 부정사'는 부정사에 나오는 2개의 요소인 'to'와 '원형동사'가 떨어져 있는 부정사를 가리킵니다. 예를 들면, 다음 문장 a에서 'to get'은 일반 부정사입니다. 한편 문장 b에서는 to와 get 사이에 부사 easily가 나오는 부정사를 볼 수 있는데, 이런 부정사를 '분리 부정사'라고 합니다. a. Jurgen Klopp, the Liverpool manager, is urging his players to get angry. b. The boys are said to easily get angry and upset. '분리 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