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2 동사 응용편

부정사 : 영어의 원리 8 - 대 (代) 부정사

 

 

'대 (代) 부정사' 무엇인가?

 

Q : '대 (代) 부정사' 용어는 처음 들어보는 것인데, 이것은 어떤 부정사인가요? 

 

A : 영어에서 이것이 사용되는 예들은 아주 흔히 볼 수 있는데, 구조가 너무 간단하기 때문에

소홀히 취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확인해보기 위해서 다음 퀴즈를 풀어보기로 합니다.

다음 대화문의 마지막에 나오는 빈칸에 적절한 표현을 찾아보십시요..

 

Quiz

 

a. M : Will you do me a favor?
   W : What is it, Mr. Baker?
   M : Please take these books to the teachers' room.
   W : Sure. Anything else?
   M : Yes. In fact, I've got some work to do here in the classroom.

          So can you close the door when you leave?
   W :                                      . Bye, Mr. Baker.

 

        (1) I'd be happy      (2) I'd be happy to

 

Q : (1)이 정답 아닌가요?

 

A : 그렇지 않습니다. (2)가 정답입니다. 이 대화문의 마지막 부분을 재구성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M : So can you close the door when you leave?
  W : I'd be happy to (close the door when I leave). Bye, Mr. Baker.

 

남성이 나갈 때 문을 닫아줄 수 있느냐고 묻는데, 기꺼히 그렇게 하겠다는 것을 완전한 문장으로

표현하면 happy 뒤에 to close the door when I leave가 나오는 위의 표현과 같을 것입니다.

 

그런데 대화에서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부정사에서 to만 남기고

close 이하는 생략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반복을 피하기 위해 to만 쓰는 부정사를 '대신'한다는 의미에서 '대 (代) 부정사'라고 합니다.

 

Q : 이런 예들이 많이 있나요?

 

A : 이런 예들은 대화문에서 아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다음 대화문 b에 나오는 대 부정사 to입니다. 이 부분은 'I'd love to join you'에서

원형동사로 시작하는 'join you'를 생략한 것입니다.

 

b. W : I’m thinking about going hiking this weekend.

           Do you want to join me?
    M : I’d love to, but I have something to do with my colleagues.

 

다음 대화문에서도 대 부정사 to가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everything 뒤의 that 절은 이것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입니다. 여기에서 대부정사 to는 'you asked me to do'에서 마지막에 나오는

원형동사 do를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한 결과입니다.

 

c. W : Did you turn off the gas valve?
    M : Of course! I went to your house,

          and I did everything that you asked me toSo, stop worrying.

 

 

 

'대 (代) 부정사'와 비슷한 표현들

 

Q : '대 (代) 부정사'와 유사한 표현에 어떤 것이 있나요? 

 

A : 가장 대표적인 것이 'to do so' 다음과 같은 문장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문장 a는 로라가 현재 B회사에 투자하고 있는데, A회사로 옮길 것을 고려하고 그 뒤에 그렇게 한다는

것을 to do so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decides 뒤에 나오는 to do so는 아래 복원시킨

'to switch to company A'대신하고 있습니다.

 

a. Laura invests in company B and considers switching to company A
    and she decides to do so

 

   → she decides to switch to company A.

 

 

다음에서도 to do so가 앞에 나온 begin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b. First you will receive your answer sheet then the test booklet.
    Do not begin until you are told to do so.

 

   → you are told to begin.

 

 

Q : 다른 예도 있나요?

 

A :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또하나의 부정사는 문장 c-d의 'to be'입니다

이것은 아래 복원시킨 것들을 통해서 볼 수 있듯이 be 동사의 보어 해당하는 

small role models가 앞에 이미 나와 있기 때문에 이것들만 생략한 형태입니다. 

   

c. Viewers may think that a subject is small because it is supposed to be.

d. Sports stars are role models for people even though they may not want to be.

 

  → it is supposed to be small.
  → they may not want to be role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