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2 동사 응용편

부정사 : 영어의 원리 7 - 원형 부정사

 

 

 

'원형 부정사'를 선택하는 기준 : 사역 동사 / 지각 동사

 

Q : '원형 부정사'는 to를 사용하지 않고, 원형동사만 사용하는 부정사인 것은 잘 압니다.

그런데 이것을 선택하는 기준 무엇인가요? 

 

A : 이것은 주로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로 이루어진 제 5형식의 문장에서 '목적보어'

사용되는데, 이것을 사용하는 것은 '(본)동사'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 문장 a가 어법에 맞지 않는 이유는 앞에 'makes'가 있는데 목적보어로

일반 부정사 to do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대신 문장 b처럼 원형부정사 'do'를 사용해야 합니다. 

 

a. (X) The trainer makes the dolphins to do all these really neat things.

 

b. (O) The trainer makes the dolphins do all these really neat things.

 

Q : 문장 b에서 'makes' '...을 하게 하다' 의미하는데,

다음 예처럼 이런 의미를 갖는 동사 get이나 force를 쓸 경우에도 원형 부정사를 사용할 수 있나요?

 

c. (?) The trainer gets the dolphins do all these really neat things.

 

d. (?) The trainer forces the dolphins do all these really neat things.

 

A : 'make'와 같은 동사를 '사역 동사'라고 합니다.

이것은 '...이 ... 를 하게 하다' 의미하기 때문에 의미적인 면에서 보면 get이나 force와 비슷합니다. 

그렇지만, getforce'사역 동사' 아닙니다. 그래서 문장 c-d처럼 원형 부정사 'do'가 아니라

다음 문장 e-f처럼 일반 부정사 'to do' 사용해야 어법에 맞는 말이 됩니다.

 

e. (O) The trainer gets the dolphins to do all these really neat things.

 

f. (O) The trainer forces the dolphins to do all these really neat things.

 

Q : make 외에 let도 사역 동사로 알고 있는데, 이런 것들 외에 다른 것도 있나요?

 

A : 예, 다음 문장 g처럼 let도 대표적인 사역 동사입니다.

그런데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동사 have사역 동사 중 하나입니다. 다음 문장 h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 문장에서 had는 사역 동사이기 때문에 목적보어가 to participate아니라

원형 부정사 participate가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g. I can't let the little child fly into New York City all by herself.

 

h. He invited them to his laboratory and had them participate in the tests.

 

Q : 원형 부정사가 필요한 지각 동사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A : 예, 'see, hear, watch' 등과 같은 것들이 지각 동사인데, 이것들이 동사로 사용될 경우

다음 문장들처럼 목적보어에 원형 부정사 나옵니다. 

 

i. You have seen your school team win the soccer championships.

 

j. She heard the car approach and stop outside.

 

k. His mother watched him swim from the very beginning.

 

Q : 이밖에 원형 부정사가 사용되는 다른 경우는 없나요?

 

A : 예, 있습니다.

우리는 이제까지 문장의 본동사사역 동사지각 동사 때 원형 부정사가 사용되는 예들을

관찰했습니다. 그러나 본동사가 아닌 경우에도 원형 부정사가 사용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사역동사 make(l) 부정사, (m) 동명사, (n) 분사, (o) 분사구문으로 쓰이는 예들 입니다. 

이렇게 본동사가 아닐 경우에도 뒤에 목적보어가 나올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도 앞에 to make

making과 같이 사역 동사가 있기 때문에 change, develop, work, run과 같은 원형 부정사를

써야 합니다.

 

l. It may take a lifetime to make the world around you change.

 

m. In business, competition controls the market by making companies develop

      new ideas to ensure survival.

 

n. He needed many semiconductor chips making the product work easily.

 

o. He is all about operations and marketing, making things run efficiently.

 

지각 동사 부정사, 동명사, 분사, 분사구문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문장 l-o처럼 원형 부정사

사용해야 합니다.

  

 

'원형 부정사'가 사용되는 특수한 구문 : help, do, go

 

Q : '원형 부정사' 어떤 특수한 구문에서 사용되나요? 

 

A : 이것은 '사역/지각 동사' 외에 3개의 구문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중 가장 흔한 경우는 다음처럼 help동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입니다. 이것이 본동사인 경우

문장 a처럼 목적보어에 일반 부정사 to keep쓸 수 있을 뿐만 아나리 문장 b처럼 원형 부정사

keep을 쓸 수도 있습니다.

 

a. The new drugs can help patients to keep blood pressure down.

 

b. These measures will help you keep physically fit this winter.

 

Q : 그러면 2개의 문장 모두 어법에 맞다는 말인가요?

 

A : 그렇습니다. '사역/지각 동사' 달리 help 동사가 있는 경우의 특징은 원형 부정사 사용이

'선택적 (optional)'이라는 점입니다. 

 

또 하나 다른 점은 목적어 부정사 올 경우에도 다음 예문들처럼 일반 부정사 원형 부정사 

선택적으로 쓸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문장 d처럼 원형 부정사 keep이 동사 help의 목적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c. This helps to keep rooms cool and shaded.

 

d. Earthen jars help keep the water cool. 

 

Q : 'do' 동사가 쓰이는 경우에도 원형 부정사 사용할 수 있나요?

 

A : 예, 가능합니다.

그러나 아무 때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구조에서만 가능합니다.   

 

먼저 다음 문장 e-f처럼 문장의 주어절(clause)로 되어 있어야 하고, 두번째 중요한 조건은 

동사 do가 이 주어절의 동사가 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런 경우 다음 문장 e의 to clean처럼

일반 부정사 쓰거나 문장 f처럼 원형 부정사 'smile and say' 쓸 수 있습니다.    

 

e. Another thing you need to do is to clean the leaves.

 

f. All you have to do is smile and say hello.

 

Q : 'go'가 나올 경우 원형 부정사 쓰이는 것을 거의 본적이 없는데요.

 

A : 아닙니다. 이런 경우들이 있습니다.

우리들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그렇지 다음 문장들처럼 go 뒤에 원형 부정사

seebuy바로 나오는 경우를 아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g. I’ll go see a doctor right away.

 

h. I’ll go buy the fruit.

 

Q : 이 문장들은 모두 비문법적인 문장들이 아닌가요?  

 

A : 그렇지 않습니다. 이 문장들은 모두 대학입학 수능 영어시험 문제 나온 예문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