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2 동사 응용편

부정사 : 영어의 원리 9 - 완료 부정사

 

 

'부정사'의 시간 1: 본동사가 가리키는 시간과 같은 경우

 

Q : '완료 부정사'를 설명하는데, '시간 (time)' 왜 필요한가요? 

 

A : 완료 부정사 '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설명하기 이전에 먼저 '부정사의 시간'대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부정사는 '원형 동사' 사용하기 때문에 동사의 모습을 바꿀 수 없습니다.

즉, '시제'를 표시하여 '시간'을 나타낼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부정사에 시간적인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대화 a에서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형용사 glad 뒤에 부정사 to meet가 있는데,

이것이 가리키는 시간을 맞춰보십시요. 이 부정사는 어떤 시간을 가리키나요?

즉, '과거에 만났던 것' 기쁘다는 말인지, 아니면, '현재 만나서' 기쁘는 말인지 맞춰보십시요.

 

a. W : Can I help you?
    M : I’m Ronald Jones. I spoke to you on the phone about my son.
    W : Mr. Jones. I am glad to meet you.

 

Q : 당연히 후자로 마지막 문장은 '나는 지금 당신을 만나서 기쁘다' 해석됩니다.

그런데 왜 이런 질문을 하는지....?

 

A : 그러면 이제 다음 문장에 나오는 to meet를 해석해보시지요. 이것도 '현재'로 해석할 수 있나요?

 

  b. I was glad to meet you again when I went to the park.

 

Q : 이것은 당연히 '과거에 당신을 다시 만났던 것'의미합니다. 

 

A : 왜 이런 질문을 던졌는지 이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대화문 a와 문장 b에 똑같은 부정사 to meet가 나옵니다.

그러나 이 부정사가 의미하는 '시간'은 각각 다릅니다. to meet를 a에서는 '현재'로 해석했는데,

b에서는 '과거'로 해석해야 합니다. 

 

이렇게 시간을 달리 해석하는 것은 무엇이 결정하나요? 그것은 바로 본동사입니다.

a의 본동사는 'am'이고, b의 본동사는 'was'입니다. 비록 부정사는 원형 동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시제'를 나타낼 수는 없지만, 본동사가 가리키는 시간에 따라서 각기 다른 시간나타냅니다.

 

그래서 다음 예의 경우 'to meet' '미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왜냐면 본동사가 will be미래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c. We’re going to my cousin’s wedding this Saturday.

      Let's go there with me. My cousin will be glad to meet you there.

 

 

'부정사' 시간 2 : 본동사가 가리키는 시간과 다른 경우

 

Q : '부정사'가 의미하는 시간이 본동사가 가리키는 시간과 른 경우있나요? 

 

A : 대부분의 경우 우리가 관찰한 것처럼 [본동사의 시간 = 부정사의 시간]과 같은 등식이 성립됩니다.

 

그러나 둘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다음에 나오는 예문처럼 want, promise, expect 등과 같은

동사가 본동사일 경우 이것과 연결되는 부정사는 모두 '본동사보다 뒤' 나타냅니다. 

 

a. Another child responded, “I want to be a millionaire.”

 

b. If I am elected, I promise to work on extending the library hours.

 

. Weore productive and to gain a higher income.

 

예를 들면, 문장 a에서 '백만장자'가 되는 것은 '지금 현재' 아니라 이 말을 하는 아이가

성장한 뒤인 '미래'의 일입니다. 문장 b와 c에서도 부정사 to workto become이 실현되는

시간은 모두 '미래'입니다.

 

Q : 이런 동사 외에 다른 것은 없나요?

 

A : 다음 예처럼 remember forget가 본동사로 쓰이는 경우에 이런 현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부정사 to plugto fill out은 모두 본동사보다 '뒤''미래'를 나타냅니다.  

 

d. Just remember to plug it in when you go to bed. 


e. Don’t forget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and take it to the doctor.

 

그러나 다음 예들에서처럼 rememberforget의 목적어로 동명사가 올 경우 의미가 달라집니다. 

동명사 목적어가리키는 시간은 '본동사보다 전'입니다.

 

그래서 문장 f는 '15년 전에 테니스 신발을 샀던 것을 기억하느냐?'같이 해석됩니다.

문장 g도 '많은 프로 선수들이 과거에 그들이 학교에서 받았던 훈련을 잊었다' 것으로 해석됩니다.

 

f. Do you remember buying tennis shoes 15 years ago? 


g. Many professional players have forgotten their training in school.

 

 

'부정사' 시간 3 : 완료 부정사가 가리키는 시간

 

A : 이제까지 앞에서 관찰한 바를 다음과 같이 하나의 그림으로 정리해보면, 부정사가 의미하는 시간은

(1) 본동사와 같거나 (2) 본동사보다 뒤(미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Q : 그러면 '완료 부정사'는 어떤 것이고, 위와 같은 그림에서 완료 부정사가 의미하는 시간은

어디에 위치해있나요? 

 

 

A : '완료 부정사' 실제로 2종류 있습니다.

첫째는 다음 문장 a의 'to have obtained'처럼 [to + have + PP]의 구조로 된 것으로,

이것이 전형적인 완료 부정사입니다.

 

a. The concept of a "bubble economy" in Japan's 1980s appears

    to have gained widespread acceptance. 

 

또 하나는 다음 문장 b의 'to have been travelling'처럼 [to + have + been +V-ing]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문장 b의 유형 엄밀히 말할 때 '완료 진행형 부정사'라고 해야 하지만,

이 둘을 달리 구분하지 않고, 보통 모두 '완료 부정사'라고 부릅니다.

 

b. An Amtrak train involved in a fatal crash appears to have been

    travelling at more than 100 miles per hour.

 '완료

Q : 그러면 '완료 부정사'는 어떤 시간을 가리키나요?

 

 

A : 이 부정사는 다음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1) 본동사보다 전에 일어난 일이나 (2) 본동사보다 전에

일어나서 그때까지 지곳된 일 가리킵니다. 

 

 

 

Q : 이런 의미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문장을 보여줄 수 있나요? 

 

A : 예를 들면, 다음 문장 c에서 본동사인 appear'현재' 나타냅니다. 그러나 to have reached

완료 부정사이기 때문에 '본동사보다 전에 일어난 일', 즉 '약 5만년 전에 인류가 호주에 도착했던

과거의 일'을 나타냅니다.  

 

c. Humans appear to have reached Australia around 50,000 years ago.

 

Q : 그러면 본동사의 시제가 달라지면, 완료 부정사가 나타내는 시간도 달라지겠군요? 

 

 

A : 그렇습니다.

문장 d에서 본동사가 현재형 'is'이기 때문에 to have obtained'과거' 나타냅니다.

그러나 문장 e의 경우 본동사가 과거형 'was'이기 때문에 완료 부정사 to have obtained

'과거완료'가 됩니다.

 

d. This island is said to have obtained its name from Columbus.  

 

 

e. This island was said to have obtained its name from Columbus. 

 

Q : '본동사보다 전에 일어나서 그때까지 지속된 일' 나타내는 예는 없나요?

 

A : 다음 대화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대화에서 남성이 '거의 30분 전부터 현재 (am이 나타내는 시간)'까지 기다린 것을

 완료 부정사 to have kept가 나타내고 있습니다

 

f. W : Next, please. (pause) I am sorry to have kept you waiting.

   M : What took you so long? I've been waiting for almost half an hour.

 

완료 부정사의 이런 특성을 알아볼 수 있는 또 하나의 예가 있습니다.

앞에서 우리는 rememberforget와 같은 본동사에 부정사가 이어지면,

이것은 '본동사보다 뒤(혹은 미래)'나타내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런 동사가 쓰인 경우 만약 '본동사보다 전에 일어난 일' 나타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물론 동명사 목적어를 쓰면 그런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굳이 부정사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완료 부정사사용하면 됩니다.

 

g. He remembers to have sent an e-mail yesterday.

 

Q : remember forget 외에 expect, want, promise 경우에도 일반 부정사는 '본동사보다 뒤의 일'

나타내는데, 이런 경우에도 '본동사보다 전에 일어난 일'나타낼 때 완료 부정사 쓸 수 있나요?

  

 

 

A : 물론 입니다. 

expect가 본동사로 쓰이는 경우 다음 문장 h처럼 일반 부정사 to complte가 나오면,

앞으로 미래에 대학교육을 마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문장 i처럼 완료 부정사 to have completed를 쓰면, 이미 '과거에 마친 것' 의미합니다. 

 

h. We expect you to complete your university studies with a doctoral

    degree in economics.

 

i. We expect you to have completed your university studies with

    a doctoral degree in economics.

 

끝으로 완료 부정사에도 다음과 같이 수동태가 있다는 것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j. The most current trend seems to have been prompted by a reaction.


k. The little boy appeared to have been coached by his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