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1 동사 핵심편

법 : 영어의 원리 15 - wish의 가정법

    

 

 

wish의 직설법

 

 

Q : 동사 'wish'는 다음의 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주로 인사말이나 소원을 비는데 사용하는 것 아닌가요?

 

a. I wish you a Merry Christmas!

b. Could you wish your father a happy birthday for me?

 

A : 예, 직설법에서 인사말이나 소원을 비는데,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특정한 날을 기념하는 인사말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음 예들처럼 일상에서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c. M : This is the final round. Remember, believe in yourself.

          You're one great boxer.

    M : Got it. Wish me luck.

 

d. We wish you the best!

 

Q : 이런 말 외에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나요?

 

A : 예, wish는 일반 문장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을 사용할 때 몇가지 주의점이 있습니다.

첫째는 다음 문장 e-f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정사는 목적어가 될 수 있지만 동명사는 될 수

없다는 점입니다.

 

e. (O) Ancient men wished to live as they pleased.

 

f. (X) Ancient men wished living as they pleased.

 

두번째 특징은 명사가 목적어일 경우 다음과 같이 wish 뒤에 전치사 for가 나오는데,

이런 경우 wish는 '원하다, 바라다'같은 의미를 나타낸다는 점입니다.

 

g. He wishes for fame in the times to come.

 

h. He wished for a new car.

 

세번째 특징은 다음 예문에서 볼 수 있습니다.

문장 i처럼 '간접목적어 (me)' '직접목적어 (a safe journey)'보통 바로 연결되는데,

의문문일 경우 문장 h처럼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 of를 넣어야 합니다.

 

i. He wished me a safe journey.

 

h. What do you wish of me?

 

 

wish의 가정법 과거

 

 

Q : 'wish'가 가정법에 쓰이는 경우가 있나요?

 

A : 예, 가정법에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 다음 문장들을 검토해봅시다.

문장 a에서 wish의 목적어는 you이고, 목적보어는 to come 이하입니다.

문장 b의 경우 목적어는 that 이하의 절입니다. 이런 문장은 모두 직설법 문장입니다.

 

a. I wish you to come home early.

b. I wish that you can help me answer the questions.

 

이번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들을 검토해봅니다. 

문장 c를 보면 약간 이상하게 보입니다. 왜 그럴까요? 그 이유는 wish 뒤에 절이 나오는데,

주어 I는 단수인데 동사는 복수형 were가 나온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이 문장은 어법에 맞는

문장입니다.   

 

c. (O)  I wish I were there.

    

d. I wish you came home early.

e. I wish we at least knew his name.

 

Q : 문장 c가 바로 가정법의 문장이란 말인가요? 그러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A : wish의 가정법 과거는 if가 있는 '가정법 과거' 문장과 마찬가지로

'현재 사실이 아니거나 불가능한 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문장 c의 경우 '나는 지금 그곳에 있기를 바란다' 해석되는데,

실제 이것은 '나는 지금 그곳에 있지 않다' 의미합니다. 문장 d-e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wish의 가정법 과거완료 : wish의 동사형에 따라 나타나는 2개의 구조

 

 

Q : wish가정법 과거완료쓰일 때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나요?

 

A : 이 경우는 주절의 동사 wish의 시제에 따라서 2가지 구조 나타납니다.

먼저 다음 대화를 봅시다. 남자가 '농구시합을 볼 때 가끔 내가 고등학교 때 농구팀을 그만두지 않았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라고 말하자 여자가 '가사를 도와야 했지 때문에 그래야 했다'고 대답합니다.

그러자 마지막 대사에 wish의 구문이 나옵니다.

 

M : Sometimes when I watch a basketball game, I think about
      how good I could have been if I hadn’t quit the team
      in high school.
W : Well, you needed to work to help out your family.
M: Yeah, but I just wish I hadn’t quit.

 

이 문장에 나타난 바와 같이 wish가 현재형 경우에는 뒤에 과거완료형 [had + PP]의 동사가 나오는 것이 wish의 과거완료형 첫번째 타입입니다.

 

Q : 이런 경우 무엇을 의미하나요?

 

A : '바라는 시간 (wish의 시간)'은 '현재'이고, 농구팀을 그만 둔 것은 '과거'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내가 과거에 농구팀을 그만두지 않았기를 지금 원한다' 같은 뜻을 나타냅니다.

 

Q : 번째 구조 어떤 경우인가요?

 

A : 다음 문장에서 보는 것처럼 wish가 과거형 wished로 나타날 때입니다.

이런 경우 wish 이하는 [would + have + PP]와 같은 구조가 되어야 합니다. 물론 could가 쓰이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I wished the night would have been longer so that I could stay
here longer.

 

이 문장은 '과거의 그날밤이 좀 더 길어 내가 더 여기에서 머물기를 원하던 시점이 과거' 것을

의미합니다.

 

 

wish의 가정법 미래 : wish의 동사형에 따라 나타나는 2개의 구조

 

 

Q : wish가정법 미래쓰일 때도 있나요?

 

A : 가정법 미래의 경우 wish는 다음 문장들처럼 현재형이 되어야 하고, 뒤에는 [would / could + 동사]

동사가 나와야 합니다.  

 

a. I wish you would stop the flow and give me a break. 

 

b. Whenever I hear a cheer from the audience after I sing,
     I wish Kathy could hear it, too. 

 

다만, 한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다음 문장 c-d처럼 주어가 Iwe이면 반드시 could

써야 합니다. 왜냐면 문장 e-f처럼 would를 쓰면,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이 되기 때문입니다.

 

c. (O) I wish I could read Russian. 

d. (O) I wish we could bring all the poor children to this

           country and settle them here.

 

e. (X) I wish I would read Russian.

f. (X) I wish we would bring all the poor childrend to this

          country and settle them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