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1 동사 핵심편

법 : 영어의 원리 6 - 판단법 (행위)

 

 

 

Q : '판단법'에서 '행위'란 행동에 대해서 내리는 어떤 판단을 가리키나요?

 

A : 이것은 여러가지 행동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판단한 바를 나타냅니다.  

 

 

(1) 허가       (2) 의무    (3) 금지

 

 

'허가' 나타내는 조동사 : may, can

 

 

Q : 영어에 '허가'만 나타내는 조동사가 따로 있나요?

 

A : 좋은 질문입니다. 영어에 이것만 나타내는 조동사는 없습니다. 

영어의 조동사는 그 종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조동사를

'허가'나타낼 때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비록 같은 조동사라도

문맥에 따라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예문 a-b에 나와 있는 may를 비교해보시면 이런 실태를 잘 알 수 있습니다.

 

a. Taking more than the recommended daily amount of vitamin D

    may cause some unwanted side effects.


b. Minister : John and Emily have made their declarations

                and it gives me great pleasure to declare them

                husband and wife. John, now, you may kiss the bride.

 

Q : 문장 a에 나오는 may는 앞에서 공부한 '판단법 가능성' 나타내는 예로 보입니다. 

왜냐면 이 조동사는 비타민 D를 하루 권장량 이상으로 섭취하면, 원하지 않은 부작용이

일어날 '가능성'나타내기 때문입니다. 

 

A : 잘 분석하셨습니다. 

그런데 b에서 목사님이 결혼식을 주례하며 하시는 말씀에 나오는 may는 어떤가요?

 

Q : 이것은 신랑이 신부에게 키스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목사님이 키스할 것을

'허락'하시는 것을 나타냅니다. 

 

A : 맞습니다. 

장 a-b에 나오는 조동사는 may로 둘 다 같은데,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의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위의 예에 나오는 문장들은 모두 평서문이기 구분할 때 주의해야 하지만,

may'허가'를 나타내는 것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의문문에서 may는 바로 상대방의 '허가'를 요구합니다. 

이런 경우 대화문 c처럼 바로 May로 시작하거나 대화문 d처럼 How may로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c. M: May I help you?

    W: That cheese cake looks delicious! How much is it?

 

d. M: Good morning, ma'am. How may I help you?

    W: I'm here to return this book.

 

Q : '허가'를 나타내는 다른 조동사는 없나요? 

 

A : 있습니다. can이 바로 '허가'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그런데 이것도 언제나 '허가'만 나타내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다른 의미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문맥을 잘 분석해야 하는데, 문맥을 분석하는 연습을 하기 위해서 우선 다음 지문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여기에 나오는 can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e. The sausage tree is grown in many parts of Africa. It has red

    flowers that bloom at sunset. Huge fruits grow in their place.

   The fruits can damage vehicles and harm people passing by

    when they fall down.

 

Q : 지문 e에 나오는 can도 앞에서 공부한 '판단법 가능성' 나타내는 예로 보입니다. 

왜냐면 소시지 나무의 커다란 열매가 떨어질 때 지나가는 차량과 행인들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가능성'나타내기 때문입니다. 

 

A : 맞습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다음 대화문 f를 읽어보시지요. 이것은 비디오 대여 가게에서

남자 손님과 여자 주인이 나누는 대화입니다. 여기에 나오는 can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f. M: What’s the rental fee?
   W: It’s three dollars. It’s a new movie. You can keep it

         until noon tomorrow. What’s your name?
   M: Robert Cano.
   W: Robert Cano. Hmm, Mr. Cano, you have yet to return

       two movies. They should’ve been returned four days ago.
   M: Oh, I almost forgot. Can I return them tomorrow?
   W: Yes, you can, but you have to pay a late fee.

 

Q : 여기에 나오는 can도 '가능성' 나타내는지 않나요? 

 

A : 그렇지 않습니다.

제일 먼저 나오는 can keep의 경우를 보십시요. 이것은 대여료 3달러를 지불하면, 

새 영화 비디오를 내일 정오까지 빌릴 수 있게 '허가'한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Can I return의 경우도 가게 주인의 '허가' 나타내고, 마지막에 나오는 you can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can이 문맥에 따라 '가능성' 또는 '허가'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Q : 이제까지 may와 can이 '허가'를 나타내는 예들을 보았는데, 이 둘 사이에 의미적인 차이 있나요? 

 

A : 있습니다. 다음 문장 g에서 may는 허락한 어떤 일을 하는데 '장애가 없는 것' 의미합니다.

즉, 목사님은 문제가 없으니 신랑이 신부에게 키스하라고 허락하는데 may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g. Minister :  John, now, you may kiss the bride.

 

h. It’s three dollars. It’s a new movie. You can keep it

   until noon tomorrow.

 

그러나 h에서 새영화를 내일 정오까지 빌려주는데는 조건이 있습니다.

그것은 대여료 3달러를 지불할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can'능력을 전제로 허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의무' 나타내는 조동사 : must, ought to, should

 

 

Q : '의무' 나타내는 경우도 '판단법'에서 '가능성' 나타내던 조동사들이 쓰이고 있군요?

 

A : 그렇습니다.

바로 앞 영어의 원리 13 '판단법 (가능성)' 나왔던 다음과 같은 예들 속에서 

우리는 must, ought to, should가 어떤 일이 발생할 '가능성' 나타내는 것을 보았습니다. 

(본문해석 영어의 원리 13 참고)

  

a. W: It is very hot, isn't it?

    M: Yeah. It must be almost 30 degrees out there.

 

b. When you start out in high tech, job status ought to be

    very low. Likewise, you shouldn’t get hung up on salary.

 

c. W: Excuse me. Is this the Express Bus office?
    M: Yes. What can I do for you?
    W: I took a bus from Busan and I left my cell phone on the bus.
    M: Let’s see.... No one has turned in anything yet.
   W: I really need to find my phone.

   M: Well, since your bus arrived half an hour ago,

        it should be on its way to the car wash.

 

Q : 이런 조동사들이 '의무'를 나타내는 경우로 어떤 것이 있나요?

  

A : 다음과 같은 지문들을 속에서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d. French law states that employees must receive a minimum

    of five weeks of vacation a year.

    (프랑스의 법은 근로자들이 일년에 최소한 5주일의 휴가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e. It ought to be possible to find a way to ventilate the subway.

    (지하철을 환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반드시 가능해야 한다)
f. Participants should bring comfortable clothes and shoes, 

    and sun block for the outdoor activities

    (참가자들은 야외 활동을 위해 편안한 옷과 신발, 그리고 햇빛 차단제를 가져와야 한다)

 

 Q : 이런 조동사들은 서로 바꿔 써도 되나요? 

  

A : 그렇지 않습니다.

 

위의 예문 d에서 프랑스 법은 직원들에게 5주간의 휴가를 주게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어기는 것은 법을 어기는 것입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강력한 법적 조치가

따를 수 있기 때문에 mus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문 e에 나온 ought to는 지하철의 환기 문제에 관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쓰이고 있는데,

환기가 잘 안된다고 기관사가 법적인 제개를 받는 것은 아니고

대신 승객들의 비난을 받을 수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쓰이고 있습니다.

 

예문 f의 경우 야외활동 참가자 각자가 지켜야 할 의무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행동에 해당되니 should를 쓰고 있습니다. 

 

우리말에 이 조동사들이 가리키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적절한 단어가 없기 때문에

직역을 할 수 없지만, 이 조동사들의 의미를 종합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래서 이 조동사들은  서로 바꿔 쓸 수 없습니다.

 

조동사

 의미

   must

 가장 강한 뜻을 나타냄: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벌칙 등이 따를 수 있음.

   ought to

must보다 약하지만 should보다 강한 뜻을 나타냄:  지키지 않으면 벌칙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적인 차원에서  도덕적으로 비난을 받을 수도 있음.

   should

일상적인 생활에서 사람들 사이의 의무를 나타냄:  지키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나, 법적 제재나  사회적 비난이 따르는 것은 아님. (should는 shall의 과거형이 아님)

 

  

 

조동사가 '과거의 의무' 나타낼 때 의미 :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일

 

 

Q : '과거의 의무' 나타낼 경우에도 must, ought to, should를 쓰나요?

 

A : 예, 이런 조동사들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다음 예문 a-b처럼 [조동사 + have + PP]의 구조를 사용해야 합니다.

 

 

문장 a에서 must have submitted는 어제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레포트를 제출해야 했던 것을 나타냅니다.

문장 b에서 should have read는 오늘 시험을 보기 전에 좀 더 주의해서 첫번째 장을 읽어야 했던 것을

의미합니다.

  

a. I made a big mistake yesterday. I must have submitted my report

    before the class began.


b.
Today’s history exam was not easy at all. I should have read

    the first chapter more carefully. 

 

 

Q : 2개의 문장은 모두 '과거에 ...을 했어야 하는 의무' 나타내는데,

문맥으로 보아 이 문장들은 '실제로는 의무적인 일을 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는데, 그런가요?

 

A : 잘 보셨습니다.

'과거의 의무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조동사 + have + PP]'실제로 하지 않았던 일' 가리킵니다.

다음 예에서 이런 현상을 잘 볼 수 있습니다. 그 정책은 사람들로 하여금 돈을 저축하게 권장했어야

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뒤에 나오는 'But it failed'를 통해서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것

확인할 수 있습니다.

 

  

c. The policy ought to have encouraged people to save their money.   

     But it failed.

 

  

 

'금지' 나타내는 방법

 

 

Q : 어떤 행위를 '금지' 경우 어떻게 표현하나요? 

 

 

A : 다음 예들처럼 must, ought to, should 뒤에 not을 넣어 표현합니다.

 

a. Farmers must not use harmful pesticides and artificial fertilizers
    for good harvest.

    (농부들은 좋은 수확을 위해 해로운 살충제와 인공비료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b. “Young people ought not to be idle. It is very bad for them,” said

    Margaret Thatcher in 1984.

    ("젊은이들은 게을러서는 안된다. 그것은 그들에게 매우 좋지 않다"라고

       마가렛 대처가 184년에 말했다)

 

c. They should not risk their own lives in deep forests. 

    (그들은 깊은 숲 속에서 자신의 생명을 거는 모험을 하지 말아야 한다)

 

Q : 좀 더 강하게 '금지'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고 하던데... ?

 

A : 이런 의미를 나타낼 경우 보통 다음 문장들처럼 never를 이용합니다.

 

d. You must never forget the important lesson from the accident.
     (당신은 그 사고로부터 배운 중요한 교훈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한다)

e. One ought never to turn one’s back on a threatened danger

    and try to run away from it.

    (누구나 협박하는 위협에 등을 돌리고 그것으로부터 달아나려고 노력해서는

      결코 안된다)

 

f. The cat should never be held down.  

    (고양이는 거꾸로 붙잡아서는 결코 안된다)

 

  

참고 : must와 have to의 3가지 차이점

 

 

Q : musthave to는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 아닌가요?

 

 

A : 마치 수학 공식처럼 [must = have to]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 둘은 다릅니다.

근본적으로 볼 때 must는 판단법이나 가정법에 쓰이는 조동사이지만, have to는 직설법의 동사입니다.

이 둘이 다른 것은 다음 3가지 차이점을 통해서 볼 수 있습니다. (단지 have to가 '... 해야 한다'를

의미한다는 점만 제외하고)

 

첫째, must는 조동사이기 때문에 다음 문장 a처럼 다른 조동사들과 함께 쓸 수 없습니다.

그러나 문장 b-c처럼 have towill이나 be going to와 같은 조동사와 함께 쓸 수 있습니다.

  

a. (X) Tomorrow, you will must carry your umbrella again.

 

b. (O) Tomorrow, you will have to carry your umbrella again.

 

c. (O) You are going to have to master these skills eventually anyway.

 

둘째, 다음 문장 d처럼 must는 부정을 할 때 not을 바로 뒤에 붙일 수 있지만, 

have to는 문장 e처럼 반드시 일반동사와 같이 do 동사를 이용해서 부정해야 합니다.  

 

d. You must not attach too much importance to this fact.

    (당신은 이 사실에 대해서 결코 지나치게 많은 중요성을 부여하지 말아야 합니다)

 

e. You don't have to attach too much importance to this fact.

    (당신은 이 사싱에 대해서 지나치게 많은 중요성을 부여할 필요가 없습니다)

 

셋째, 의미적으로도 이 둘은 다릅니다. must는 판단법에서 '법적인 제재를 수반하는 의무' 나타내기

때문에 아주 강한 의미 나타냅니다. 그러나 have to는 단지 '... 해야 한다' 사실을 의미합니다. 

 

특히 이 둘을 부정할 경우 의미가 아주 다릅니다. 위의 문장 d-e의 해석에서 볼 수 있듯이 

must not'금지'를 나타내지만, don't have to'필요 없다는 것'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