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1 동사 핵심편

법 : 영어의 원리 9 -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 조건절의 특성 : was와 were를 구분하는 방법

 

Q : 영어의 동사형은, 예를 들면, 동작동사 work의 경우 다음과 같이 12개의 형태 있습니다.

 

 여기에 과거에 해당하는 것으로 위에 빨강색으로 표시한 것처럼 모두 4개의 형태가 있는데,

이것들을 모두 가정법 과거의 조건절이용할 수 있나요? 

 

A : 모두 조건절에 사용할 수 없고, 다음 예문처럼 '단순형'과 '진행형' 2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2개는 '가정법 과거완료'에서 따로 취급하기 때문에, 다음에 나오는 원리 6에서 다루겠습니다. 

 

a. If it rained, I would not climb the mountain.

 

b. If it was raining, I would not climb the mountain.

 

 

 

 

 

 

Q : 문장 b의 'was raining' 나와서 말인데, 가정법 과거의 조건절에 was가 쓰이기도 하고,

were가 쓰이기도 하는데, 이렇게 해도 문법적으로 문제가 없는가요?

 

A : 좋은 질문입니다. 아마 다음과 같은 예들을 보고 이런 질문을 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c. If she was rich, she would buy the car.

 

d. If she were rich, she would buy the car. 

 

 

 

 

 

 

 

가정법을 잘 모르는 분들은 문장 d의 경우 단수형 주어 she복수형 동사 were가 일치하지 않으니

비문법적인 문장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장 d는 어법에 맞는 문장입니다.

 

Q :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A : 이것은 영어의 역사관련된 문제입니다.

 

지금부터 약 1500여년 전 영국에 들어온 게르만족이 쓰던 언어가 영어의 모태가 되는데, 

이것을 보통 '고대 영어 (Old English)'라고 합니다. 고대 영어는 마치 독일어와 같아서 

대부분의 동사는 -an으로 된 원형 동사 있고, 이 동사의 '어미 (語尾)'가 

'인칭 (人稱 person)''격 (case)'은 물론 '법 (mood)' 종류에 따라 변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중에서 특히 어미가 '-e' 된 동사형은 가정법을 나타내는 것이었습니다.

위의 문장 d에 나오는 were마찬가지로 오늘날의 복수형 were가 아니라

[were + e (가정법을 나타내는 어미)]의 구조를 된 것이 었습니다. 

 

그 뒤 영어는 많은 변화를 겪고 오늘날과 같은 언어가 되는 과정에서 고대 영어에 있던 가정법 형태들이 모두 없어졌지만, 단 하나 남아있는 것이 바로 were입니다. 그래서 문장 d와 같이 were를 써도,

이것은 가정법을 나타내기 때문에, 어법에 맞는 것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Q : 이제 어느 정도 이해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 가정법 과거나오면 was와 were 둘 중에 아무거나 써도 되겠군요.  

 

A : 그렇지 않습니다. 이것들을 쓸 때 주의할 점이 하나 있습니다. 

다음 문장 c-d처럼 '가능한 일'나타낼 경우 둘 중 어느 것을 써도 어법에 맞습니다.

그러나 문장 e-f의 경우 'she''you'로 되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were만 어법에 맞기 때문에 반드시 이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c. (O) If she was rich, she would buy the car.

 

d. (O) If she were rich, she would buy the car. 

 

 

e. (X) If she was you, she would buy the car.

 

f. (O) If she were you, she would buy the car.

 

 

 

 

 

 

 

 

 

 

 

즉, 사람이 부유해지는 것은 '가능한 일'이지만, 'she'라는 사람이 'you'라는 사람으로 바뀔 수는

없습니다. 이와 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was가 아니라 반드시 were를 써야 합니다.

 

가정법 과거의 결과절에 would가 나오는 이유

 

 

Q : 가정법 과거의 결과절에 다음 문장처럼 조동사 would가 나오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a. If I had a dollar, I would give it to the poor child.

 

 

 

 

A : 결과절에 조동사 would가 나오는 이유는 다음 표를 통해서 보도록하겠습니다.

 

 

  직설법

 

  가정법

 조건절

  I had a dollar

  If I had a dollar

 결과절

 

 

  I gave it to the poor child

 

 

 

 

  I will gave it to the poor child

        ↓

  I would give it to the poor child.

 

 

먼저 조건절을 보면, 'I had a dollar' '직설법'으로 된 절입니다.

여기에 조건을 나타내는 if넣으면, 오른쪽과 같은 가정법 절이 됩니다.

 

결과절도 마찬가지로 'I gave it to ...'를 그대로 쓰면 '직설법' 절이 되기 때문에

여기에 will을 넣어 가정법 절 바꿉니다. 그런데 'will gave' 어법에 맞지 않기 때문에

gave에 있는 '과거'를 will에 넘기면 이것은 would가 되고, 결국 would give와 같은 형태가 됩니다.

 

Q : 가정법 과거의 결과절에는 주로 would가 나오는데, 이것만 써야 하나요?

 

A : 그렇지는 않습니다.

말하거나 글을 쓰는 사람의 생각에 따라 다음 예들처럼 could, might 등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b. If she took a direct route, she could reach the house in half the time. 

 

c. If you walked into this place, you might think this is a palace.

 

 

 

 

 

 

Q : would, could, might를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A : 이것들 사이에는 의미적인 차이가 있는데, 그 차이점들은 뒤에 나오는 영어의 원리 '판단법-가능성'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가정법 과거의 의미 : 가정법 현재와 차이점

 

 

Q : 가정법 과거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예를 들면, '과거의 일'에 대한 가정인가요? 

 

A : 용어가 '가정법 과거'이기 때문에 이것이 '과거'를 나타내는 것으로 혼동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가정법 과거의 의미가 아닙니다.

 

가정법 과거는 '현재 사실이 아닌 일이나 불가능한 일' 가리킵니다.  

 

Q : 앞에서 보았던 '가정법 현재' '현재'를 가리킬 수 있는데, 이것과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 중 첫번째 문장인 가정법 현재는 '가능한 일' 의미하지만,

두번째 가정법 문장은 '지금 돈이 없어서 주지 못한다'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차이가 있습니다. 

 

 가정법

  예

 의미

  해

현재

  If I have a dollar,

  I will give it to the child.

  현재 (또는 미래)에

  가능한 일

  내게 1달러가 있다면, 그것을 그 아이에게

  줄 것이다.  

  (지금 주머니를 뒤져보고 있으면  주겠다--  

   혹은, 앞으로 생기면 주겠다)

과거

 

  If I had a dollar,

  I would give it to the child

 현재 사실이 아닌 일

  내게 1달러가 있다면, 그것을 그 아이에게

  줄 텐데.  

  (나는 지금 1달러가 없어 그것을  줄 수 없다)

 

 

 

 이와 같이 가정법 과거가 현재 사실이 아닌 일을 나타내는 예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볼 수 있습니다. 

 

If I were taller, I would be a basketball player.

 

(내가 만약 좀 더 크다면, 나는 농구선수일 것이다---

나는 지금 키가 좀 더 크지 않고 농구선수도 아니다)

 

 

 

 

 

 

 

 

가정법 과거가 쓰이는 특수한 경우

 

 

Q : 가정법 과거의 특수한 의미 무엇을 가리키는가요? 

 

A : 예를 들면, 다음 문장처럼 가정법 과거가 '미래'를 나타내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이 문장의 조건절에 나오는 next Monday를 보면, 조건절은 지금이 아니라 '미래'의 일을 가리킵니다.  

 

If I called you next Monday, would it be convenient?

 

 

  

 

이렇게 가정법 과거가 '미래'의 일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이유는 '정중한 / 예의 바른 표현' 경우

과거형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예는 다음 글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라디오 음악 방송의 DJ에게 청취자가 음악을 신청하면서 하는 말입니다. 

 

Can you please play “Yes, It’s Love” by Judy Kelly for my wife

on Saturday evening, April 7th? It’s our 10th wedding anniversary.

If you could play the song, it would be a wonderful present.

 

 

 

 

 

 

 

 

특히 조건절에도 could를 넣어 정중하게 부탁하고 있는데,

이렇게 과거형이 사용되는 경우는 가정법이 아니라도 일상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커피 가게에서 주문을 할 때처럼 상대방이 처음 보는 사람일 경우

will 보다 would를 쓰는게 더 적절합니다. 

  

(O) Would you give me a cup of coffee?

 

(X) Will you give me a cup of cof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