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SPECT

법 : 영어의 원리 1 - '법 (mood)'이란 무엇인가? 영어 동사에 나타나는 문법적인 정보 1 이 장에 오기까지 검토해본 영어의 동사가 담고 있는 문법적인 정보들을 종합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제 (Tense) 동사에 나타나는 가장 대표적인 정보는 ‘시제 (時制 Tense)’이다. 예를 들어, a의 makes는 ‘현재’를 나타낸다. 한편b의 made는 ‘과거’를 나타내고, c의 will make와 d의 am going to make는 모두 ‘미래’를 나타낸다. a. Just thinking of it makes me happy. b. I made such mistakes. c. I will make dinner tonight. d. I am going to make a new dish tonight for the party. 2. 상 (Aspect.. 더보기
시제 : 영어의 원리 14 - 미래완료형의 시간적 기준점 Q : 미래완료형은 상당히 드문 형태인데, 이 형태가 영어에 많이 쓰이나요? A : 다른 형태들에 비해 그리 흔하지는 않지만, 다음 수능 영어시험 지문에 나오는 will have collected를 통해서 볼 수 있듯이, 이런 형태가 분명히 쓰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f you keep a daily journal, you will find yourself writing down thoughts that you carry with you all day. These thoughts include not just conscious ones. They also include subconscious thoughts that you were not even aware you were thinking u.. 더보기
시제 : 영어의 원리 13 - 미래진행형 구분하기 Q : 미래진행형은 '진행'을 나타내기 때문에, 동작동사만 가능하고, know나 like와 같은 상태동사로는 이런 형태를 만들 수 없지요? A : 그렇습니다. Q : 그러면 미래진행형을 나타낼 때도 미래단순형과 마찬가지로 will이나 be going to를 사용하나요? A : 미래진행형에서도 다음과 같이 2가지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e will be studying at the library when you come back. b. He is going to be studying at the library when you come back. 다만 앞의 영어의 원리 12에서 공부한 바와 같이 will과 be going to는 때때로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서 반드시 구분해서 써야 합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