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성교수 영문법 썸네일형 리스트형 법 : 영어의 원리 3 - If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A : 영어에서 if는 많이 쓰이는 접속사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시나요? Q : 접속사 if는 가정법에 사용되기 때문에, 당연히 조건을 나타내는 '... 한다면'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것 아닌가요? A : 보통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if는 이것이 나오는 구문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구문에 쓰인 if가 '가정법'을 나타내는 것인지 구분할 수 있어야 '가정법'을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If가 Whether를 의미하는 경우 Q : if가 가정법의 조건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로 예를 들면 어떤 것이 있나요? A : whether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가장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예를 들면, 문장 a-b처럼 if 절이 ask..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2 - 영어에는 몇개의 법이 있는가? 기존에 있는 3개의 법으로 처리할 수 없는 예 Q : 이번 글의 제목에 따르면, 법의 종류를 묻고 있는데, 앞서 영어의 원리 1에서 언급한 것처럼 영어의 법에는 3개가 있는 것 아닌가요? A : 그렇습니다. 일반적으로 그렇게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면, 동사 help가 쓰여진 다음 문장들을 검토해봅시다. a. Dietary fiber helps to lower the level of cholesterol. b. Help us by joining today, and enjoy all the benefits of membership. c. If you want more allowance, you should help with the family chores. 문장 a에서 동사 helps는 ‘직설법’으로 쓰.. 더보기 법 : 영어의 원리 1 - '법 (mood)'이란 무엇인가? 영어 동사에 나타나는 문법적인 정보 1 이 장에 오기까지 검토해본 영어의 동사가 담고 있는 문법적인 정보들을 종합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제 (Tense) 동사에 나타나는 가장 대표적인 정보는 ‘시제 (時制 Tense)’이다. 예를 들어, a의 makes는 ‘현재’를 나타낸다. 한편b의 made는 ‘과거’를 나타내고, c의 will make와 d의 am going to make는 모두 ‘미래’를 나타낸다. a. Just thinking of it makes me happy. b. I made such mistakes. c. I will make dinner tonight. d. I am going to make a new dish tonight for the party. 2. 상 (Aspect.. 더보기 법 : 법 소개 영어에서 '법 (Mood)'은 외국인이 학습할 때 가장 어려운 분야 중에 하나입니다. 왜냐면 이것은 '어떤 일에 대해서 말하는 사람이 그것을 사실로 생각하느냐 아니면 사실이 아닌 것으로 생각하느냐'의 여부를 나타내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Grammar 3 : 법 (Mood)'은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1. '법'이란 무엇인가? 2. 영어의 법은 몇 개 있는가? (흔히 직설법, 명령법, 가정법과 같은 3개의 법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판단법'이란 법이 하나 더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이제까지 '판단법'이란 말 대신 '조동사의 용법'으로 설명 하던 것을 통합해서 설명합니다) 3. 가정법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얻을 .. 더보기 태 : 영어의 원리 11 - 수동태와 전치사 수동태의 수식 : [by + 행위자] 수동태의 문장을 수식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수동태의 문장은 [by + 행위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수식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먼저, 문장 a의 by the man처럼 ‘행위자’가 나오면 동사는 ‘동작’을 나타내기 때문에 동사를 수식할 수 있는 much로 수식해야 한다. b처럼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는 very를 쓰면,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이 된다. a. (O) She was much surprised by the man. b. (X) She was very surprised by the man. 그런데 [by + 행위자]의 구문이 없는 경우는 달라진다. c처럼 by 구문이 없는 경우는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very로 수식할 수 있다. .. 더보기 태 : 영어의 원리 10 - 5형식 문장의 수동태 직접목적어만 수동태의 주어 문장 a의 call과 같이 [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5형식 문장에 쓰이는 동사의 경우 b처럼 목적어만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다. c의 sea chanties (뱃노래)처럼 목적보어가 명사라도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없다. d-e에서는 elect의 경우를 볼 수 있다. a. They call the songs sea chanties. b. → (O) The songs are called sea chanties. c. → (X) Sea chanties are called the songs by them. d. My classmates elected me president of my class. e. → (O) I was elected president.. 더보기 태 : 영어의 원리 9 - 4형식 문장의 수동태 2개의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는 경우 1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는 대상은 목적어이기 때문에 [주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4형식 문장에 나오는 2개의 목적어는 원칙적으로 수동태의 주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런 제약이나 변화 없이 2개의 목적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쓸 수 있는 동사는 a의 forgive와 같은 동사로 극히 한정되어 있다. a. God forgives us our sins. b. → (O) We are forgiven our sins by God. c. → (O) Our sins are forgiven us by God. forgive와 같이 2개의 목적어가 있는 동사를 보통 '수여동사'라고 하는데, 이런 동사가 있는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는 경우..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