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행형

태 : 영어의 원리 2 - 영어에는 몇 개의 태가 있는가? 영어에는 몇 개의 태가 있는가? : 능동태 /수동태 / 중간태 / 유사 수동태 영어의 태는 다음의 예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능동태'와 '수동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 The boy opened the door. b. The door was opned by the boy. 그런데 문제는 영어에 이런 유형이 아닌 다음과 같은 유형의 문장이 있다는 점이다. c. The door opened well. 이 문장은 이상해 보일 수 있다. 왜냐면, 동사는 문장 a처럼 '능동태'의 동사인데, 주어는 문장 b처럼 '수동태'의 주어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문장 c는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인가? 이 문장은 모국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완벽한 문장이다. 그러면, 이 문장의 태는 무엇인가? 이런 문장을 '중간.. 더보기
시제 : 영어의 원리 9 - 과거진행형은 언제 사용하는가? Q : 과거 진행형은 '진행'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런 형태를 만들 경우 '동작 동사'만 사용할 수 있고, '상태 동사'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죠? A : 그렇습니다. Q : 그러면, 과거 진행형은 '과거에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낼 때 쓰는 것 아닌가요? 과거 진행형과 과거 단순형의 의미적인 차이 A : 그렇지만, 이것이 과거 단순형과 다른 점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문장을 보시지요. a. John was crossing the street. b. John crossed the street. 어떤 차이가 있나요? Q : 문장 a는 앞에서 말한 것처럼 과거 진행형이기 때문에 '과거에 길거리를 건너고 있었다'로 해석되고, 문장 b도 비슷하지 않나요? A : 비슷해보이지만, 약간 다릅니다. 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