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6 수능 빈칸추론/기출문제1 - 빈칸추론

2016학년도 33번 빈칸추론 문제

 

 

 

 

 문제의 지문에 대한 정보

 

1. EBS 교재 :

연계되지 않은 문제

 

2. 출전 :

이 문제의 지문은 아래와 같이 Vanada Shiva가 편집한 Manifestos on the Future of Food and Seed에 나오는 글로서 

 

    

 

 아래 부분에서 빨간 사각형으로 표시한 문단 중 일부를 발췌한 글임.

 

 

 

 글의 도입부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eed improvement has long been a public domain and government activity for the common good.

 

     분석 1      

보통 주제문은 문단의 제일 처음에 나오는데, 이 문장은 첫번째 나오지만, 주제문이 아니라,

뒤에 나올 주제문을 유도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주어가 상당히 길어 보이지만, 요즘 언론은 물론 일상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말로 바꾸면,

다음과 같이 약간은 간단해 보일 수 있고,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eed improvement R & D for seed improvement

 

이 구문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음

 

종자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은 오래 동안 공공의 이익을 위해 공적인 영역과 정부 활동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었.

 

단어를 찾을 때 주의할 점 :

common은 보통 '공통의'라고 알려져 있지만, '공공의'와 같은 뜻도 있고,

good형용사로서 '좋은'이 아니라 명사로서 '이익'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사전에서 확인할 수 있음.

 

 

 글의 주제부 :

 

However,

(1) private capital started to flow into seed production and took it over as a sector of

      the economy,

 

(2) creating an artificial split between the two aspects of the seed’s nature: its role

     as means of production and its role as product.

 

     분석 2      

처음 나오는 however는 바로 이 부분이 주제부라는 것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고 있음. 

 

     분석 3      

보통 주제는 하나의 간단한 문장으로 나오기 때문에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private 이하는 위에 나누어 놓은 것과 같이 크게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길기 때문에 한마디로 요약하기 어렵게 되어 있음.

 

이 2개의 부분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뒤에 나오는 빈칸 문제를 푸는 관건이 되기 때문에

많은 주의가 요구됨.

 

(1)에 대한 이해

이 부분은 보통 '민간 자본이 종자 생산에 흘러들어왔고, 경제의 한 분야로서 그것(종자 생산)을  차지했다'고 해석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을 앞의 도입부와 연결해서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이 이해하는 것이 좋겠고,

 

종자 생산 영역은 (경제적인 이익을 나지 않는 분야였기 때문에) 원래 공공 부분이 담당하고 있었지만.

민간 자본이 종자 생산 영역으로 흘러들어와서 그 분야도 경제적인 이익을 남길 수 있는 분야로

만들었는데 ...

 

(2)에 대한 이해

creating으로 시작하는 이 부분은 분사구문으로 되어 있어,

단지 앞의 주절을 보충해주는 요소로 가볍게 취급하고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 부분은 종자 생산이 이익을 남길 수 있는 분야가 된 이유를 설명하는 부분으로서

특히'왜 또는 어떻게 해서 이익을 남길 수 있게 하였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보통 분사구문이 뒤에 나올 경우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구문에서는 이유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여, 접속사 since를 넣는 것도 하나의 해결책으로 보임.

 

since it has created an artificial split between the two aspects of the seed's nature :

its role as means of production and its role as product

 

이 부분에서 중요한 것은 artificial split인데, 이것을 단순히 '인위적인 분리'로 해석하면, 

그 뜻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하는데,

 

이것을 이해하려면 '종자 혹은 씨앗 (seed)'에 대해 전통적으로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통념과

민간기업들의 생각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야 함.

 

전통적으로 '종자 혹은 씨앗 (seed)'은 생산의 수단 (means of productioin)이자 동시에 먹을 수 있는 상품 (product)이었는데, (예를 들면, 가을에 추수한 '볍씨'를 잘 보관했다가 다음 해 모내기를 할 때 사용하면

'생산 수단'이 되고, 또 이 볍씨를 정미소에서 도정을 하면 ''이 되어 '경제적 이익을 남길 수 있는 (먹을 수 있는) 상품'이 되었음.)

 

즉, 이와 같이 '종자 혹은 씨앗 (seed)'은 전통적으로 1개가 2개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이었는데,

이것을 '인위적으로 분리 (artificial split)'했다는 말은 '연구와 개발 (R & D)'을 통해서 

어떤 씨앗은 '생산 수단'으로만 사용하고, 또 어떤 씨앗은 '상품'의 기능만 하게 하였다는 것을 의미함. 

 

(3) (1)과 (2)를 종합하여 주제문을 재구성

이상에서 검토한 바를 종합하여 주제문을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말로 요약할 수 있음.

 

민간 자본이 흘러들어와 씨앗이 본래 가지고 있던 1인 2역, 즉 생산수단과 상품이라는 2가지 역할

동시에 하던 것을 분리시켜 씨앗 생산이 경제적 이익을 남기게 되었다.

 

이것을 뒤에 나올 부분과 연결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음.

 

과거에 씨앗은, 농부가 그것으로 상품을 생산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었고, 또 일부는 보관했다가

다음 해에 생산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을 분리했다는 것은 민간 기업이 만든 씨앗은 농부에게 '상품' 역할만 하지 생산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게 만들어져, 다음 해 농사를 지을 때 농부는다시 기업으로부터 씨앗을 사야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것을 의미함.

 

 

 주제를 뒷받침하는 예 (example)

 

This process gained pace after the invention of hybrid breeding of maize in the late 1920s.

 

Today most maize seed cultivated are hybrids.

 

     분석 4      

여기에 나오는 2개의 문장은 앞에서 언급한 바를 뒷받침해주는 예를 들고 있음.

 

우선 수많은 '종자 혹은 씨앗 (seed)' 가운데 상업적으로 실용화된 대상으로 '옥수수 (maize :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보통 corn이라함)'를 제시하고 있고,

 

artificial split를 가리키는 This process가 옥수수의 'hybrid breeding (잡종/혼성종)'을 발명한 뒤에 속도를 내게 되어 (gained pace), 오늘날 경작되는 대부분의 옥수수 씨는 잡종이라고 설명하고 있음. 

 

 

 문제의 빈칸을 해결하는 방법 

 

The companies that sell them are able to keep the distinct parent lines from farmers,

and the grain that they produce is not suited for seed saving and replanting.

 

The combination guarantees that farmers will have to                                                         .

 

① buy more seed from the company each season
② use more chemical fertilizer than before
③ pioneer markets for their food products
④ increase the efficiency of food production
⑤ search for ways to maintain rural communities

 

     분석 5      

문제 33번의 지문 가운데 가장 오역될 가능성이 높은 문장은 이 부분에 처음 나오는 다음 문장인데,

 

The companies that sell them are able to keep the distinct parent lines from farmers

 

이 구문에서 문제가 되는 해당 부위를 찾아내기 위해,

먼저 관계대명사 절 that sell them은 의미적으로 분명하기 때문에 생략해보고,

are able to는 길기 때문에 can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은 구조가 되는데,

 

The companies can keep the distinct parent lines from farmers

 

이 구문에서 의미 해석에 첫번째 문제가 되는 것은 the distinct parent lines인데, 

parent lines'the companies that sell them' 중 them (옥수수의 hybrids)을 생산한

'부모의 생물학적 계통'을 가리키고, 이것이 독특하기 때문에 distinct를 앞에 붙인 것임.

 

또 하나 문제가 되는 단어는 keep인데,

이것은 사전을 찾아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타동사일 경우 뜻이 19개 이상이 되기 때문에 의미가

선뜻 잡히지 않는데, 이런 경우는 이 문장의 구조 [keep A from B]를 기반으로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음.

 

keep : (남에게) 알리지 않다, 비밀로 해두다

 

이런 문제점이 keep에 있는데, 이 글이 발췌된 원문은 다음과 같이 keep이 아니라 withhold를 쓰는데,

(원문에는 sell 뒤에 them이 아닌 it를 쓰고 있음)

 

The companies that sell it are able to withhold the distinct parent lines from farmers

 

[withhold A from B]는 'A를 B에게 알려주지 않다'를 의미하기 때문에 위의 keep의 의미와 동일한 것이니,

결국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그것들을 파는 회사들은 농부들에게 (그것들의) 독특한 (생물학적) 모계 (즉, 옥수수 씨의 유전적인

정보)를 비밀로 알려주지 않을 수 있다.

 

     분석 6      

and 앞의 절을 위와 같이 분석했을 때 and 뒤에 나오는 다음 구문도 정확한 해석이 가능함.

 

and the grain that they produce is not suited for seed saving and replanting.

 

and 앞쪽에 the companies와 farmers가 있기 때문에 they가 가리키는 대상을 정확히 판별하는 것이 중요한데,

they 앞에 나오는 the grain (낱알, 곡물)은 '상품 (product)'을 가리키기 때문에 

they는 farmers를 가리키는 것이 될 수밖에 없고,

 

이렇게 분석하는 경우 위의 문장은 다음과 같이 해석되어 앞에서 분석한 것과 일치되는 것을 볼 수 있음.

 

그리고 농부들이 생산하는 낱알은 씨앗으로 저장하고 다시 심는데 적합하지 않다.

 

     분석 6       문제의 해결

빈칸이 나오는 다음 문장에서 주의할 점은 The combination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인데,

 

The combination guarantees that farmers will have to                                           .

 

이것은 (1) 회사들이 씨앗의 독특한 모계를 비밀로 하는 것과 (2) 농부들이 생산하는 낱알이 보관하여 다시

심는데 부적절한 것을 '결합한 것'을 의미하는 하기 때문에,

 

빈칸은 농부들이 해야 할 일을 나타내야 하니, 농사를 짓기 위해서 농부가 해야 할 일은 당연히 ①에 해당하는 사항이 될 수 밖에 없음.

 

① buy more seed from the company each season  (계절마다 회사로부터 더 많은 씨를 사다)
② use more chemical fertilizer than before            (전보다 더 많은 화학 비료를 쓰다)
③ pioneer markets for their food products             (그들의 식료품 상품 시장을 개척하다)
④ increase the efficiency of food production         (식량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다)
⑤ search for ways to maintain rural communities  (농촌 사회를 유지할 방법을 연구하다)

 

 앞에 나온 내용을 좀 더 뒷받침하는 마지막 부분

 

In the 1990s the extension of patent laws as the onl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ol

into the area of seed varieties started to create a growing market for private seed companies.

 

     분석 7      

이 문장은 주어가 길기 때문에 해석이 쉽지 않은데,

이것을 처리하는 방식은 명사를 잘 다룰 때 가능하기 때문에 앞으로 상당한 연습이 필요함.

 

이 문장에서 주어인 extention을 단순히 명사로 보지 않고, 동사 'extend'에서 나온 것으로 볼 때

주어 구문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는데,

 

the extention of A into B started to create ...

 

이것은 A를 B로 확장한 것을 의미하고,

A는 이 문장에서 '유일한 지적 재산권의 도구로서 특허법 (patent lawas as the onl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ol)'을 가리키고, B는 '씨앗 종류의 분야 (the area of seed varieties)'을 의미하니, 의미적으로 명백할 뿐만 아니라 started가 이 문장의 본동사인 것을 알 수 있어,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이 해석됨

 

1990년대, 유일한 지적 재산권의 도구로 특허법을 씨앗 종류의 분야까지 확장한 것이

민간 종자회사들을 위한 성장하는 시장을 만들어주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