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1 동사 핵심편

시제 : 영어의 원리 4 - 현재단순형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Q : 이번 글의 제목을 보면, ‘현재 단순형이란 말을 쓰고 계신데,

이것은 단순 현재형을 잘못 쓰신 거 아닌가요?

 

A : 지적하신 바와 같이 거의 모든 문법책들은 단순 현재형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저는 이 용어가 적절하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Q : 무엇이 잘못되어 있는가요?

 

'단순 현재형' 대신 ' 현재 단순형'이라고 하자!

  

A : 우리는 영어의 원리 2에서 다음과 같이 동작 동사의 경우 12개의 형태가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중 현재 시제에 해당하는 형태 4를 기억하시나요?

 

 

 

 상

 단 순

진 행 

완 료 

 완료 진행

 시 제

 현 재

  works

  is working

  has worked

  has been working

 과 거

  worked

  was working

  had worked

  had been working

 미 래

  will work

  will be working

  will have worked

  will have been working

 

Q : , ‘단순 현재형, 현재 진행형, 현재 완료형, 현재 완료 진행형입니다

 

A : 그런데 이런 형태들은 시제만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지요?

 

Q : , 그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

 

 

A : 이제 4개의 형태 가운데 단순 현재형현재 진행형이란 용어에 나오는

시제의 순서를 비교해보십시오.

 

Q :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A : 그러면 제가 쉽게 설명해보지요.

 

먼저 단순 현재형의 경우 단순은 그야말로 간단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으로서 진행 (progressive)완료 (perfective)의 속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단순 현재형[(단순) + 시제 (현재)]를 결합시킨 표현입니다.

 

그런데 현재 진행형은 어떤 순서로 이루어졌나요?

 

Q : 이제 왜 문제가 있는지 알 것 같습니다.

 

현재 진행형[시제 (현재) + (진행)]을 결합시킨 것으로, ‘시제가 먼저 나오고 이 뒤에

나옵니다. 그래서 단순 현재형현재 진행형에서 용어의 배치 순서가 다르군요.

 

A : 그렇습니다. 2개의 형태에서 시제에 해당하는 용어를 배치하는 순서가 이와 같이 일관성이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제부터 단순 현재형대신 현재 단순형을 사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Q : 그렇군요. ‘현재 단순형이라고 부르면, 이런 명칭은 현재 진행형은 물론 현재 완료형

현재 완료진행형같은 용어와 일관된 체제를 이룰 수 있는 것 같네요.

 

그리고 시제이라는 개념은 물론 이것들의 순서도 항상 기억할 수 있겠네요.

 

A : 아주 정확하게 이해하셨습니다. 이렇게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영어를 학습하는 첫걸음입니다.

 

Q : 그러면 단순 과거형과거 단순형으로 바꾸고, ‘단순 미래형미래 단순형으로 바꿔야 하나요?

 

A : . 처음에는 좀 생소하게 느낄 수 있으나, 계속 사용하다보면 익숙해지실 겁니다.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현재 단순형'

 

Q : 이제 현재 단순형에 대한 말씀을 듣고 싶습니다.

 

이것은 영어에 아주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제까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많이 학습해왔기

때문에 저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것에 대해서 어떤 공부를 더 해야 하나요?

 

A : 그럼 먼저 우리가 무엇을 알고 있는지, 그리고 무엇을 모르는지 점검하기 위해서

다음 퀴즈를 함께 풀어보기로 합니다.

 

Quiz 1

 

다음 글의 빈칸에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John and Mary learned from their parents that some of the places they wanted

to see most       (A)        on the same side of the River Seine as the Arch of Triumph. 

This famous river winds its way through the heart of the city. They also found

that the Eiffel Tower they had picked out        (B)        on the other side of the river.

They discovered, too, that the part of Paris called the Latin Section         (C)       

on that side of the river. Here they saw the old part of Paris with its quaint stone

and mortar houses, shops, and buildings. 

 

            (A)                 (B)              (C)

   ①   were               was             was

   ②   are                   is                is 

 

Q : 지문이 제법 길기 때문에 복잡해보입니다.

 

A : 그러나 복잡한 문장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 퀴즈는 다음과 같은 3개의 문장에서 that으로 시작하는

종속절의 동사가 과거 단순형이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현재 단순형이 되어야 하는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1) John and Mary learned that some of the places        (A)        on the side of

the River Seine. 

 

(2) They also found that the Eiffel Tower        (B)        on the other side of the river.

 

(3) They discovered that the part of Paris        (C)        on that side of the river.

 

                                                (A)                 (B)              (C)

 ①   were               was             was

 ②   are                   is                is 

 

Q : 앞의 주절에 나오는 동사인 learned, found, discovered’모두 과거 단순형입니다.

따라서 종속절도 시제를 일치시키려면, ‘과거 단순형이 되어야 하니 정답은 이 아닌가요?

 

A : 그렇게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답은 입니다.

 

Q :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A : . 정답을 로 볼 때 2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첫째, 영어에서 시제의 일치는 모든 문장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규칙이 아닙니다.

이것은 특수한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위의 퀴즈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Q : 2번째 문제는 무엇인가요?

 

A : 그것은 영어 현재 단순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또는 언제 사용하는지 잘 모른다는 점입니다.

 

Q : ‘현재 단순형은 언제 사용해야 하는가요?

 

A : 영어에서 가장 다양하게 사용되는 동사의 형태가 바로 현재 단순형입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5개의 의미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1

 2

 3

 4

 5

일반적인 사실

 습관적인 사실

 현재의 사실

 순차적인 사건

 인용

 

Q : 이렇게 많은 의미를 나타낼 때 사용되나요?

 

A : . 이런 표를 보면, 놀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몇 개의 예문들을 검토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현재 단순형의 의미 1 : 일반적인 사실

 

Q : 그러면, 위의 퀴즈에서 정답이 가 되는 근거는 위의 의미 중 어떤 것과 관련이 있는가요?

 

A : 위에 나온 문장을 다음과 같이 다시 인용하고 이것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John and Mary learned from their parents that some of the places  are  on the side

of the River Seine. 

 

JohnMary가 부모님으로부터 that 이하의 내용을 알게 된 것은 분명히 과거의 일입니다.

그래서 주절에 과거 단순형 learned가 사용되는 것은 이해하시겠지요. 

 

Q : . 그렇습니다.

 

A : 그러면 that 이하에서 some of the places가 세느 강 쪽에 있는 것도 과거의 사실입니까?

 

Q : 그렇지는 않습니다. some of the places지금도 세느 강 쪽에 있습니다.

 

A : 바로 이 점이 were 대신 are를 써야하는 이유입니다.

 

Q : 앞서 현재 단순형의 의미를 5개로 분류하셨는데, 어디에 해당되나요?

 

A : 바로 첫 번째 나온 일반적인 사실을 가리킵니다.

 

, 이 장소들은 언제나 그곳에 있기 때문에 현재 단순형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위의 문장 바로 뒤에 나오는 다음 문장을 보십시오.

그리고 왜 과거 단순형 wound가 아니라 현재 단순형 winds가 있는지 생각해보십시오.

 

This famous river winds its way through the heart of the city.

 

Q : 이 유명한 강은 시간에 관계없이 그 도시, 즉 파리의 중심부를 굽이쳐 흐른다는 뜻이군요.

이제 조금 알 것 같습니다.

 

이제 제시하신 두 번째 의미인 습관적인 사실로 넘어가 볼까요?

 

A : 저는 앞에서 풀었던 퀴즈에 나온 예문만으로 일반적인 사실과 관련된 문법을 모두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좀 더 완전하게 학습하기 위해서 다음 문장들을 검토하고, 이어서 습관적인 사실을 다루겠습니다.

   

 

a. The ancient Greeks believed that all beautiful things share the "Golden Ration."

 

b. Goats like eating weeds. In fact, they prefer weeds to grass. So they are very useful

    for controlling weeds without using chemicals.

 

c.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

d. Time waits for no man.

e. Two head are better than one.

f. A bird in the hand is worth two in the bush.

 

 

 Q : 예문 b는 앞에 나온 것과 비슷하군요.

 

왜냐면 고대 그리스인들이 믿었던 것은 과거의 일이니까 과거 단순형 ‘believed’로 표현하지만,

that 이하의 절에서 모든 아름다운 것들이 황금 비율을 가지고 있는 것은 일반적인 사실이기

 때문에 ‘shared’가 아니라 현재 단순형 share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A : 맞습니다.

 

Q : 그런데 b와 구조가 다른 예문 c는 왜 인용하신 것인가요?

 

A : 여기에 나오는 3개의 문장은 염소의 습성에 관한 것입니다.

 

, 이 글은 염소가 grass (목초)보다 잡초(weeds)를 더 좋아하기 때문에,

화학 약품을 쓰지 않고 잡초를 제거하는데 염소가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이렇게 시간에 관계없이 과학적으로 인정되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내는 경우도

바로 현재 단순형을 사용해야 합니다.

 

Q : 염소가 잡초를 지금 현재만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생태적으로 언제나 좋아한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지요?

 

A : , 그렇습니다.

 

Q : d 이하의 예문들은 모두 속담 같은데 왜 나와 있나요?

 

A : 지적하신 바와 같이 속담들입니다. 속담들은 지금 현재만 통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에

관계없이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현재 단순형으로 표현합니다.

 

Q : 그러면 현재 단순형은 '시간에 관계없이 사회적·과학적으로 인정하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네요.

 

A : 아주 좋습니다.

 

 

현재 단순형의 의미 2 : 습관적인 사실

 

Q : 그런데, 이런 의미는 시간에 관계없는 사실을 나타내기 때문에,

두 번째로 나오는 습관적인 사실비슷하지 않은가요?

 

A : 물론 그렇게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둘은 다릅니다. 다음의 지문이 이 차이점을 잘 보여줍니다. 한번 읽어 보시지요.

 

g. Serafina Vinon gets up at five in the morning to milk her cows.

    Afterward she cooks a huge breakfast, cleans the house,

    and depending on the weather and time of year, either takes the herd

    to the meadow, tends the orchard, or cards some wool. In summer she spends

    weeks on the high pastures cutting hay.

 

Q : 노란색으로 표시된 동사들은 모두 현재 단순형이군요.

 

A : , 맞습니다.

 

제가 한 가지 질문을 하겠습니다. 현재 단순형 동사들은 이 글의 등장인물인 Serafina Vinon

대해서 우리가 시간에 관계없이 과학적·사회적으로 인정하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내고 있나요?

 

Q : 그렇지 않습니다. 우선 우리는 이 사람이 누구인지 조차 모르니까요.

 

A : 바로 이런 경우 현재 단순형일반적인 사실이 아니라 Vinon이라는 사람의 습관적인 사실

나타냅니다.

 

,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gets up), 요리를 하고 (cooks), 집을 청소하며 (cleans),

소떼를 목장에 데려가고 (takes), 과수원을 돌보거나 (tends), 양털에 빗질을 해주는 (cards)

것은 물론 높은 목장에서 건초를 베며 몇 주를 보내는 (spends) 것도 모두 주인공 Vinon과 관련된

습관적인 사실나타냅니다.

 

Q : 이제 일반적인 사실습관적인 사실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A : 다음 2개의 예문에서 현재 단순형이 습관적인 사실을 의미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특징을

하나 더 검토해보시기 바랍니다.

 

h. Our biology teacher always gives us homework.

 

i. I usually go to bed and wake up at the same time everyday.

 

 

Q : ‘gives, go, wake up’과 같은 현재 단순형이 습관적인 사실을 나타내는 경우

always, usually, every day’와 같이 습관을 나타내는 부사와 잘 어울린다는 말씀을 하고 싶으신거죠?

 

A : , 그렇습니다. 이렇게 습관적인 사실을 나타내는 부사가 같이 쓰이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런 것들이 없어도 현재 단순형만으로 습관적인 사실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두시길 바랍니다.

 

Q : 잘 알겠습니다.

 

 

현재 단순형의 의미 3 : 현재의 사실

 

Q : 이제 3번째 의미에 대해서 설명해주시겠습니까?

 

A : . 현재 단순형의 의미를 나열할 때 세 번째 나오는 현재의 사실이란 의미를 설명하겠습니다.

다음 대화를 읽어 보시지요.

 

 

j. W : Would you like to order anything else?

   M : No. That is all for today.

   W : Then, your total comes to $ 400. Do you have any discount coupons?

   M : Yes. I have a special 10% discount coupon. 

 

Q : 어떤 쇼핑센터의 계산대에서 직원과 손님이 나누는 비교적 쉬운 내용의 대화문이네요.

노란 색으로 표시한 단어들은 모두 현재 단순형이고요.

 

A : 그렇습니다. 노란색으로 표시한 is는 퀴즈에서 보았던 is와 다르지요?

 

Q : , ‘That is all for today’에 나오는 is오늘그렇다는 것이지, 위에 나오는 퀴즈의 경우처럼

언제나그렇다는 것은 아니지요. 그리고 습관적인 사실을 나타낸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A : 잘 보셨습니다. 그 뒤에 나오는 comesDo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현재 단순형이 나타내는 의미는 ‘I have a special 10% discount coupon’

아주 잘 나타나 있습니다.

 

Q : , 이 문장에서 have언제나 가지고 있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현재 가지고 있다의미하는 것이네요.

 

A : 현재 단순형이 나타내는 또 하나의 의미는 바로 이와 같은 현재의 사실입니다.

 

Q : 잘 알겠습니다.

 

현재 단순형의 의미 4 : 순차적인 사건

 

Q : 그러면, 이제 다른 질문을 하겠습니다.

 

앞서 현재 단순형이 순차적인 사건을 나타낸다고 하셨는데, 예를 들어 주실 수 있나요?

 

A : 다음 글을 읽어 보시면, 이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k. Peter walks into the kitchen and finds his father preparing the breakfast.

    It seems that his mother became ill during the night, and will have to stay in bed

    for some time. So, Peter goes to his mother and tells her not to worry

    and to get well soon. He even volunteers to do the cooking for the family

    until she gets well again.

 

Q : 여기에 나오는 현재 단순형은 주인공인 Peter습관적인 사실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없겠네요.

 

왜냐면, 언제나 Peter가 부엌에 들어가서 아버지가 아침 식사를 준비하는 것을 보고,

어머니한테 가서 말을 걸고, 요리하는 것을 자원하겠다고 해석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A : 잘 보셨습니다. 그렇게 해석하면, 오히려 이상하지요.

 

이런 경우 현재 단순형은 순차적인 사건나타냅니다.

 

Q : 그런데, 이렇게 해석하기보다 현재의 사실로 해석해도 별 문제가 없지 않나요?

 

왜냐면 현재 단순형들이 Peter가 지금 현재 하고 있는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A : 좋은 지적입니다. 그렇지만 다음 예문을 보면, 생각이 달라지실 겁니다.

 

 

l. I visit a fmily in Africa. The woman of the house tells me that she hopes

   to learn to read so that she can study a handbook on raising children.

   In Japan I am invited to the apartment of a young couple. Their daughter talks

   about her first-grade teacher. In Egypt I am aboard a houseboat on the Nile.

   The owner talks about a recent film. Don't these topics strike a familiar note?

   My experience as a traveler has taught me that despite differences in dress, language,

   and living conditions, people all over the world are very much the same.

 

Q : 여기에도 현재 단순형이 많이 나오네요. 그런데 무슨 차이가 있나요?

 

A : 그렇습니다. ‘visit, tells, am invited, talks, am aboard, talks’ 모두 현재 단순형이지요.

그런데 이것들을 모두 현재의 사실로 해석할 수 없습니다.

 

Q : 왜 그런가요?

 

A : 이 글의 밑에서 뒤에 나오는 밑줄 친 My experience as a traveler has taught라는 말이 나오지요?

 

이것을 통해서 앞에 현재 단순형으로 묘사한 사건들은 지금 일어나는 현재의 사실

아니라 과거에 여행자로서 경험한 것을 나타낸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Q : 그러면, 과거의 순차적인 사건현재 단순형으로 묘사할 수 있기 때문에,

앞에 나온 지문 k에서도 현재 단순형은 현재의 사실이 아니라 순차적인 사실

나타낸다고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A : 맞습니다. 이렇게 순차적인 사건현재의 사실과 다른 것입니다.

 

Q : 이제 잘 알겠습니다.

 

 

현재 단순형의 의미 5 : 인용

 

Q : 그러면 끝으로 현재 단순형인용에 쓰인다고 하셨는데, 그것은 무슨 뜻인가요?

 

A : 다음 예문을 보십시오.

 

m. Abraham Lincoln says "A house divded against itself cannot stand."

 

n. E. B. White writes of his interest in gardening : "We are hooked and are making

    an attempt to keep the habit."

 

문장 m의 주어 Abraham Lincoln은 오래 전에 돌아가신 미국 대통령입니다.

또한 E. B. White라는 분도 이미 타계하신 분입니다.

 

이 문장들은 이 분들의 말을 인용하고 있는데, 여기에 어떤 동사형이 나오나요?

 

Q :sayswrites모두 현재 단순형입니다.

왜 이렇게 이미 고인이 되신 분들의 이야기를 현재 단순형으로 표현하나요?

 

A : 이 분들이 말씀을 하거나 글을 쓰신 것은 분명히 과거의 일입니다.

 

그러나 인용할 때는 이와 같이 현재 단순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정치인 / 작가 / 저자, 언론 / 인터뷰, 작품 / 저서등을 인용할 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Q : 잘 알겠습니다. 오늘 먼 길을 걸어온 것 같군요

이제까지 검토한 것을 간단하게 요약해서 정리를 해주실 수 있나요?

 

A : 이제까지 같이 공부한 것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현재 단순형을 통해서 나타낼 수 있는 의미

  

 1

 일반적인 사실

  사회적·과학적으로 인정된 언제나 참인 사실

 2

 습관적인 사실

  개인 등의 습관적인 일

 3

 현재의 사실 

  말하거나 글을 쓰는 지금 현재 참인 사실

 4

 순차적인 사건

  시간에 관계없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일

 5

 인용

  비록 과거의 일이지만 인용하는 경우

 

영어를 해석할 때 현재 단순형이 문맥에 따라 5개 의미 가운데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정확하게

파악하면 문장과 글의 의미를 확실하게 알 수 있고,

 

또 영작을 할 때도 이런 지식을 토대로 현재 단순형을 사용하면 좋은 글을 쓸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