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1 동사 핵심편

시제 : 영어의 원리 5 - 현재진행형 바로 알기

 

 

 

 

 

Q : 현재 진행형[be 동사 현재형 + V-ing]로 이루어진 것으로, 구조도 간단하고 의미도 비교적

명백한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뤄야 할 내용이 별로 없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 제목이 '현재 진행형 바로 알기'라고 하니, 알아 두어야 할 내용이 제법 많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군요.

 

A : 아주 많지는 않지만, 다음에 열거한 중요한 사항들을 알아야 현재 진행형을 바로 이해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현재 진행형과 현재 단순형을 구분하기

 2

 현재 진행형을 만들 수 있는 동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3

 상태 동사는 현재 진행형으로 표현할 수 없는가?

 4

 현재 진행형의 2가지 기본 의미

 5

 현재 진행형의 특수한 의미

 

 

겉모양이 비슷해서 혼동하기 쉬운 '현재 진행형'과 '현재 단순형'

 

A :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이 2개의 동사들이 형태가 비슷해서 혼동을 하기 쉽다는 점입니다. 

이 점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 퀴즈를 풀어봅시다.

 

Quiz 1

 

다음  밑줄 친 (A)와 (B) 가운데 어법상 틀린 것은?

 

Admit your own mistake and talk about what you (A) are very learning from them.

Showing self-acceptance in this way (B) is very encouraging to kids as well as

other people around you. Apologize when you loset your temper or said something

mean during an argument.

 

Q : (A)는 아주 이상하게 보이지만, (B)는 맞는 것도 같고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합니다. 왜 그런가요?

 

A : (A)가 이상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are learning이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입니다.

, learning이 동사이기 때문에 very로 수식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 문장이 어법상 틀린 문장입니다.

 

Q : (B)의 경우 are 대신 is가 있고, 또 learning 대신 비슷한 encouraging이 있는데, 

왜 이 문장은 어법에 맞는 문장이 되나요?

 

A : (B)에 나오는 encouraging은 '진행형 동사'가 아니라 '장려하는, 고무하는, 격려하는' 등을 의미하는

'형용사'입니다. 그래서 very로 수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법에 맞는 표현이 됩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A) are learning은 '현재 진행형' 동사이지만, (B)의 is encouraging은

'현재 단순형'으로서 동사는 'is'이고, encouraging은 형용사로서 문장에서 보어 역할을 합니다.

 

Q : 결국 encouraging도 'beautiful, kind' 등과 같이 very로 수식할 수 있는 형용사란 말인데,

왜 이것이 형용사가 되나요?

 

A : 이것은 영문법에서 '분사 (Participle)'라고 부르는 것으로 동사처럼 보이지만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Q : 그러면 encouraging은 영어 문장에서 언제나 형용사로 쓰이나요? 

 

 

A : 그렇지 않습니다. 이것이 어떤 구조에 쓰이느냐에 따라 '현재 진행형'이 될 수도 있고,

또 때로는 '현재 단순형'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문장들을 비교해 보십시요.

 

a. The news is encouraging to people who suffer from the disease.

 

b. The news is encouraging people to donate stem cells.

 

Q : 문장 a의 경우 퀴즈에 쓰인 encouraging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문장 b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가요?

 

A : 잘 보셨습니다.

a에서 encouraging은 형용사로서 주어  The news를 수식합니다. 그리고 뒤에 나오는 전치사구인

to people에 연결됩니다.

 

그러나 b에서 encouraging은 is와 함께 현재 진행형을 만들고, 이 동사의 목적어는 바로 뒤에 나오는 people입니다. 그리고 이어서 나오는 to donate는 부정사입니다.

 

그래서 위의 문장들은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a. 그 소식은 그 병을 앓는 사람들에게 고무적인 것이다.

 

     b. 그 소식은 사람들이 줄기 세포들을 기증하게 장려하고 있다. 

 

Q : 그러면, 문장 a와 b에 very를 넣으면 다음과 같이 a는 문법적인 문장이 되지만,

b는 어법에 맞지 않는다는 말씀인가요?

 

a. (O) The news is very encouraging to people who suffer from the disease.

 

b. (X) The news is very encouraging people to donate stem cells.

 

A : 맞습니다. 

겉보기에 비슷하지만, [be동사 현재형 + V-ing]이 때로는 '현재 진행형'이 될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서 '현재 단순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문맥을 잘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Q : very가 일종의 기준이 될 수 있겠네요. 마치 리트머스 시험지처럼.....  

 

 

'현재 진행형'을 만들 수 있는 동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Q : 그러면 영어의 동사는 모두 현재 진행형을 만들 수 있나요?

 

A : 그렇지는 않습니다.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Q : 종류라 하면 '타동사, 자동사' 등을 말하는 것인가요?

 

A : 영어 동사의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동사라고 하면, 보통 '타동사, 자동사'를 떠올리지만, 이것은 문장의 구조, 즉 문장의 형식을 구분할 때

유용한 분류입니다.

 

이것만큼 중요한 분류는 '동작동사 (dynamic verb)'와 '상태 동사 (stative verb)'입니다. 

왜냐면 이것에 따라서 동사의 형태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기본 문법 2 "영어에는 몇 개의 시제가 있는가?"를 읽어보셨다면, 동작 동사의 경우 다음과 같이 12개의 유형이 있는 동사를 아실 것입니다.  

 

 

 

 상

 단 순

진 행 

완 료 

 완료 진행

 시 제

 현 재

  works

  is working

  has worked

  has been working

 과 거

  worked

  was working

  had worked

  had been working

 미

  will work

  will be working

  will have worked

  will have been working

 

Q : 동작 동사만 현재 진행형을 만들 수 있나요?

 

A : 예 그렇습니다.

 

   

'상태 동사'는 현재 진행형을 만들 수 없는가? 

 

Q : 그러면 다음 표에 나오는 know와 같은 상태 동사는 현재 진행형을 만들 수 없나요?

 

  

 

 상

 단 순

진 행 

완 료 

 완료 진행

 시 제

 현 재

  knows

 x

   has known

 x

 과 거

  knew

 x

   had known

 x

 미 래

  will know

 x

   will have known

 x

 

 

 A : 그렇습니다.

 

Q : 한 가지 더 질문 하겠습니다. have는 상태 동사인데, 수능 영어시험은 물론 각종 글이나 말에서

다음과 같이 현재 진행형으로 쓰이는 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c. Bob's Shoes is having a sale this week.

 

d.  We are having a magic show to celebrate our grand opening.

 

그러면, 이 문장들은 모두 문법에 맞지 않는 문장이 아닌가요?

 

A : 그렇지 않습니다. 이 문장들은 모두 문법적인 문장들입니다.

 

왜냐면, 첫째, have 동사는 특수한 동사로서 '상태 동사'와 '동작 동사' 2가지 역할을 할 수 있고,

둘째, 문장 c-d에서 have는 동작 동사로 쓰이기 때문에 어법에 맞는 문장이 됩니다.   

 

Q : 이해가 잘 되지 않는데요?

 

A : 좀 더 쉽게 말하면, 동사 have는 2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다음 문장을 보십시요.

 

e. (O) He has many books in the study.

f. (X) He is having many books in the study.

 

g.  (O) He is having his lunch in the study.

 

문장 e에서 has는 '소유하다'를 의미하는 상태 동사입니다. 이와 같이 '소유'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 have는 상태 동사이고, 이런 의미를 나타낼 때는 문장 f처럼 현재 진행형으로 쓸 수 없습니다. 

 

이와 반면에 문장 g는 비록 현재 진행형이지만, 어법에 맞는 문장입니다. 

왜냐면 이 문장에서 have는 '소유하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뒤에 나오는 his lunch와 함께 

'먹고 있다'를 의미하기 때문에 동작 동사입니다. 그래서 현재 진행형으로 써도 어법에 맞는

문장이 됩니다.

 

Q : 이제 어느 정도 이해가 됩니다.

그러면, 위의 문장 c-d에서 have는 '소유하다'로 해석되지 않고, 대신 다음처럼 동작의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문법적인 문장이 되는군요. 그렇지 않나요?

 

     c. Bob's Shoes(신발가게 이름)는 이번 주에 세일을 하고 있다.

 

     d. 우리는 개점을 축하하기 위해서 마술 쇼를 하고 있다.

 

 

A : 그렇습니다. 목적어와 함께 동작을 나타내기 때문에 모두 문법적인 문장이 됩니다.

 

Q : have 외에 다른 동사는요?

 

A : 또 있습니다. 아주 흔히 쓰이는 be 동사도 경우에 따라 상태 동사 또는 동작 동사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 예문을 보시지요.

 

h. (O) He is a student of the school.

i. (X) He is being a student of the school.

 

j.  M : Be careful! Don't drop the jars!

    W : Don't worry. (O) I am being very careful with them.

 

문장 h에서 be 동사인 is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i처럼 진행형으로 쓸 수 없습니다.

그러나 j의 경우 am being으로 써도 어법에 맞는 이유는 이때 be동사가 동작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Q : have 와 달리 이것은 잘 이해할 수 없군요.

 

A : 이런 경우 뒤에 나오는 말들은 대개 careful과 같은 형용사 입니다. 이 형용사와 am being이 결합해서

'(매우) 조심스럽게 행동하고 있다'를 의미합니다. 또 다른 예들을보시지요.

 

 

k. He is being foolish(그는 바보짓을 하고 있다)

 

l. She is being just.      (그녀는 정정당당하게 행동하고 있다)

 

현재 진행형 is being은 형용사 foolish와 just와 결합해서 모두 동작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Q : 결국 이런 경우 be동사는 '동작 동사'로 사용되고 있다는 말씀이군요. 

 

A : 그렇습니다. 이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 동작 동사가 될 수 있는 상태 동사들에 taste, feel, smell 등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진행형'의 2가지 기본 의미

 

A : 이제 현재 진행형을 만들 수 있는 동사에 대해 알게 되었으니, 지금부터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Q : '현재 진행형'은 이제까지 공부한 결과, 문자그대로 '현재 진행되는 동작' 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요?

 

A : 물론 대체로 그렇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다음의 예들을 보면, 이것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 The boy is now taking the biology course in the lecture room 101. 

 

n. The boy who is now playing tennis with John is taking the biology course 

    this semester.

 

Q : 문장 m은 현재 진행형의 의미를 잘 나타내주고 있는데, 문장 n은 조금 이상한 것 같습니다.

 

A : 잘 보셨습니다. 그런데 문장 n이 이상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이 문장 속에 is now playing과 is taking과

같이 2개의 현재 진행형이 있기 때문입니다.

 

Q : 앞에 나오는 is now playing은 '지금 현재 테니스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와 동시에 생물 수업을 듣고 있다는 것이 함께 나오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나요?. 

 

A : 그렇게 보이지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제일 뒤에 나오는 this semester가 is taking을 수식하는 것을 보십시요.

이것은 '현재'가 '이번 학기'로 확대된 것을 의미합니다.

 

Q : 아! 그래서 이 문장이 어법에 맞는 문장이 되는군요.

 

A : 그렇습니다. 현재 진행형은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지금 현재를 포함하는 일정한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일'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문장 m이 어법에 맞는 문장이 됩니다.

 

 

'현재 진행형'의 특수한 의미

 

Q : 그러면, 이제부터 현재 진행형을 볼 때 now나 this semester과 같은 부사를 잘 보아야 하겠군요.

 

A : 좋은 생각입니다. 부사를 볼 때 주의가 필요한 경우는 또 하나가 있습니다. 

이제 다음 퀴즈를 풀어보면 좀 더 정확한 개념을 잡을 수 있습니다. 

 

 

Quiz 2

 

다음  각 문장이 어법에 맞으면 O, 어법에 맞지 않으면 X를 표하시오.

 

o. (       ) He is eating his breakfast this morning.

 

p. (       )  He is eating his breakfast every morning.

 

q. (      ) He is alway leaving dirty socks on the living floor.

 

Q : 먼저 문장 o는 어법에 맞는 문장이지만, 문장 p는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입니다.

 

A : 왜 그런가요?

 

 

Q : 현재 진행형은 '현재 진행 중인 사실'을 의미하기 때문에, 문장 o에서 현재 진행형 동사는 '오늘 아침'을

의미하는 부사 this morning과 잘 어울립니다. 그러나 문장 p의 경우 현재 진행형은 부사 every morning과 잘 어울리지 않습니다. 왜냐면 '매일 아침'을 의미하는 이 부사는 '습관'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A : 정확한 설명입니다. 그러면 문장 q는 어떻습니까?

 

Q : 습관을 나타내는 부사 always가 현재 진행형과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 어법에 맞지 않습니다. 

 

A : 그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장은 어법에 맞는 문장입니다. 왜냐면 현재 진행형과 always가

함께 쓰이면 특별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Q : 어떤 의미를 나타내나요?

 

A : always가 현재 진행형과 함께 쓰이면, '짜증, 불쾌감, 불만' 등과 같은 의미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문장 q는 '그는 짜증나게도 언제나 거실 바닥에 더러운 양말을 벗어놓는다'를 의미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문장 q가 어법에 맞는 문장이 됩니다.

 

참고로 다음과 같은 문장들 속에서도 이런 의미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문장들도 모두 어법에

맞는 문장들입니다.  

 

r. Susan is always making me angry.

     (Susan은 짜증나게 언제나 나를 화나게 만든다.)

 

s. The diseases are always menacing human beings.

     (그 질병들은 기분 나쁘게 언제나 사람들을 위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