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1 동사 핵심편

시제 : 영어의 원리 7 - 현재완료진행형 만들기

 

 

 

 

A : '현재 완료진행형'이 현재 시제에 해당하는 동사형 가운데 가장 긴 것은 잘 알고 계시지요?

 

Q : [have 동사 현재형 + been + V-ing]처럼 3개의 요소로 이루어져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A : 그런데 현재 완료진행형에서 been이 사용되는 이유를 아시나요?

 

 

 

현재 완료진행형에 왜 'been'이 사용되는가?

 

Q : 이것이 사용되는 이유는 잘 모르겠고, 다만 수학 공식처럼 암기해왔습니다. 왜 그런가요?

 

A : 이제부터 문장 a에 나오는 has been working과 같은 현재 완료진행형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봅니다.  

 

a. The professors have been working at the university.

 

1 단계 :      [ have + worked ]  +  [ be + working ]

                                            ↓

2 단계 :      [ have +          ed ]  +  [ be + working ]

                                                   ↘       ↙

3 단계 :      [ have                  been          working ]

                                                   ↓

4 단계 :    The professor has been working ...

 

먼저 1 단계처럼 work 동사의 완료형 'have worked'와 진행형 'be working'을 나열합니다.

왜냐면 이렇게 해야 [완료 + 진행]의 구조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Q : 두 번째 단계는 아주 이상해 보이는데, 이것은 무엇을 나타내나요?

 

A : 제 1 단계의 결과를 자세히 보면, 중요한 문제가 하나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하나의 동사형 속에 의미를 나타내는 workedworking이 동시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2개 중 하나를 삭제해야 하는데,

보통 영어 동사구에서 앞에 문법적인 역할을 하는 말이 오고 제일 뒤에 의미를 나타내는 요소

오기 때문에, 앞에 나오는 worked 가운데 work만 삭제한 것이 2 단계입니다.

 

그래서 '과거분사 (past participle)'을 나타내는 -ed만 남아 있기 때문에,

지적하신 것처럼 이상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Q : 아, 그래서 제 3 단계에서 -ed와 be은 합쳐 been으로 만드는군요? 

 

A : be는 원형 동사이기 때문에 단독으로 쓸 수 있지만, 

과거 분사를 나타내는 -ed단독으로 쓸 수 없는 접미사입니다.

 

그래서 be에 -ed를 합쳐야 하고 그 결과, be 동사의 과거분사 been만들어집니다. 

 

Q : 제 4 단계는 주어가 The professor로 3인칭 단수 현재이기 때문에 have가 has로 변하는 단계이군요. 

 

그런데, 처음에 나왔던 4개의 요소 중 하나가 없어지고, 3개만 남아도 '완료 진행'형이 될 수 있나요?

 

A : 그렇습니다. 위의 제 3 단계를 다시 보시죠.

 

3 단계 :      [ have         been        working ]

                          ↘      ↙      ↘      ↙

                          완료           진행 

 

먼저, have 와 been은 [have + 과거 분사]의 조건을 채우기 때문에 '완료'가 됩니다.

 

다음으로 been은 working과 함께 [be 동사 + V-ing]과 같은 형태가 되기 때문에 '진행'이 됩니다.

 

이처럼 여기에서 been이 2가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완료 진행'형 동사가 만들어 집니다.

 

Q : 그러면, 시제만 바꾸면 되니까, 다음처럼 과거 완료진행형 has 대신 과거 had를 쓰고,

미래 완료진행형 will have를 쓰면 되나요?

 

현재 완료진행형 :  has been working

과거 완료진행형 :  had been working

미래 완료진행형 : will have been working

 

A : 아주 잘 이해하셨습니다.

이와 같이 동사구에서 제일 앞에 나오는 have의 시제만 바꾸면, 3개의 완료진행형이 만들어집니다.

 

 

현재 완료진행형의 의미 : 현재 완료형과 어떻게 다른가?

 

 

Q : 이제 현재 완료진행형의 의미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이것은 현재 완료형과 의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들 들면, 다음 2개의 문장을 비교해보면, 그 가족은 2005년 이후 지금까지 이곳에 살았다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b. The family has lived here since 2005.

 

c. The family has been living here since 2005.

 

A :  예, 그렇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의미가 비슷합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이 둘이 조금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퀴즈를 풀어보시죠.

  

Quize 1

다음 빈칸에 가장 적절한 것은?

 

d. It                                 all day. I wonder when it will stop.

 

                 (1) has rained     (2) has been raining

 

Q :  I wonder 이하가 없다면 2개 모두 어법에 맞는 것 같은데 ... 이것 때문에 (2)가 적절한 것 아닌가요?

 

A :  차이점을 파악하셨군요. 이렇게 문맥에 따라서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왜냐면 현재 완료진행형은 ' 과거에 시작해서 이제까지 계속되었고 지금도 계속 되는 동작'을 

나타내지만, 현재 완료형은 현재까지 지속된 것만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확인해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문맥을 바꿔보면, 이제는 반대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e. (O) It has rained all day, but it is now starting to shine again.

 

f. (???) It has been raining all day, but it is now starting to shine again.

 

 Q : 현재 완료형이 쓰인 문장 e의 경우, 하루 종일 방금 전까지 비가 왔지만, 이제는 해가 다시 비치기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적절한 문장으로 보입니다.  

 

A :  그렇습니다.

러나 문장 f에서 현재 완료진행형 has been raining은 지금도 비가 온다는 의미가 있는데,

이것은 but 뒤에 나오는 표현과 잘 어울리지 못합니다. 그래서 이 문장이 이상하게 보입니다.

 

 

현재 완료진행형과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들

 

 

Q : 끝으로 한 가지 앞에서 학습한 바를 확인하고 싶습니다. 

현재 완료진행형에는 '진행'이 들어 있기 때문에 상태 동사는 이런 형태를 만들 수 없고,

동작 동사만 가능한 것 맞습니까?

 

A : 예.

 

Q : 그리고, '완료'는 '일정한 기간'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런 것을 나타내는 표현과 잘 어울리나요?

 

A : 물론 입니다. 다음에 나오는 예들 속에서 현재 완료진행형과 잘 어울리는 표현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g. Mr. Williams has been writing music for movies since 1960.

h. He has been working at the company since he moved here in 2011.

i. Hey, Linda. Where have you been? I have been trying to reach you all morning. 

j. W : Darling. Have you been waiting long?

   M : Yes. I have been waiting here for over an h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