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종성교수 영문법/2 동사 응용편

부정사 : 영어의 원리 12 -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부정사'의 수식 대상

 

Q : 부사는 여러 종류의 품사는 물론 문장을 수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정사가 '부사' 역할을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품사의 낱말들과 문장을 수식할 수 있나요?

 

A : 그렇습니다. 부정사도 부사 역할을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대상들을 수식할 수 있습니다. 

 


Q : 그런데 부정사가 부사적 용법으로 사용되는 것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A : '형용사, 부사, 문장' 수식하는 부사의 경우 비교적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 문장 a에서 부정사 to meet 이하는 형용사 glad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문장 b에서 to finish 이하는 같은 부사인 enough와 연결되고 이것은

또 다시 long와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끝으로 문장 c에서 부정사 To tell the truth는 뒤에 나오는 문장 전체를 수식합니다.  

  

a. I am glad to meet you.

b. I stayed up long enough to finish the book.

c. To tell the truth, he is a bad liar.

 

그러나 '동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조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제부터 부정사가 부사적 용법으로

쓰이는 경우를 차례로 검토해가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부정사'가 '형용사' 수식하는 경우

 

Q : 부정사가 형용사를 수식할 때 어떤 의미로 해석해야 하나요?

 

A : 이런 경우 부정사를 다음과 같이 몇개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문맥을 잘 검토해보아야 합니다.

 

 

Q : 예를 들어 어떤 경우에 '이유'로 해석하고 또 어떤 경우에 '조건'으로 해석하나요?

 

A : 다음 문장 a-b에서 부정사 to meet you 형용사 glad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문장 a에서 이 부정사는 glad'이유(원인)' 나타냅니다. 그런데, 똑 같은 구조인데도 불구하고

문장 b에서 부정사는 glad의 '조건'으로 해석됩니다.

 

a. I am very glad to meet you.             →  이유

b. I will be very glad to meet you.       →  조건

  

Q : 왜 이렇게 서로 다르게 해석해야 하나요?

 

A : 그것은 바로 동사 때문입니다.

문장 a에서 동사가 am으로 '현재'를 나타내기 때문에 '나는 지금 당신을 만나서 매우 기쁘다'

 의미합니다. 즉, 부정사는 지금 이 말을 하는 사람이 '기쁜 이유'나타냅니다.

 

그러나 문장 b에서 동사는 will be'미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미래에 내가 당신을 만나게 된다면 매우 기쁠 것이다' 해석됩니다.

즉, 문장 b에서 부정사는 앞으로 매우 기뻐할 '조건'을 나타냅니다.  

 

Q : 부정사가 '목적''대상'을 의미하는 경우도 이런 현상을 볼 수 있나요? 

 

A : 그렇습니다.

 

다음 문장 c-d에도 부정사 to meet you가 나오는데, 이 문장들에 나오는 부정사의 의미는 다릅니다. 

먼저 c의 경우 그가 열성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 그 '목적''당신을 만나는 것'입니다.

그러나 문장 d에서 이 부정사는 'ready (준비된 것)'의 '대상'의미합니다. 

이 문장들의 경우 의미 해석이 달라지는 이유는 형용사 'eager' 'ready'의미적인 차이 때문입니다.

 

c. He is eager to meet you.       →  목적

d. He is ready to meet you.      →  대상

  

이와 같이 부정사의 의미는 문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부사적 역할을 하는 경우 문맥을

잘 분석해야 합니다.

 

'부정사'가 '부사' 수식하는 경우

 

Q : 다음 문장에서 부정사 to identify 이하는 부사 diligently를 수식하나요?

 

 a. The researchers are working diligently to identify the problems.

 

A : 이 문장에서 부정사는 부사 diligengly 바로 뒤에 있기 때문에 부사를 수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부정사는 부사를 수식하지 않습니다. diligently는 are working태도를 나타내주고,

부정사는 are working목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둘 다 동사 are working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Q : 그러면 부정사가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어떤 것이 있나요?

 

A : 부정사가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아주 흔한 것은 아닙니다.

다음 문장 b-c처럼 소위 [too ... to...]의 구조나 enough가 쓰이는 구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b. John is too young to lift the heavy box.

 

c. Bill is strong enough to lift the heavy box.

 

 

'부정사'가 '문장' 수식하는 경우

 

Q : 부정사가 문장을 수식하느냐의 여부를 어떻게 알아볼 수 있나요? 

 

A : 이런 경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문장과 독립되어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다음 문장에서 부정사 'to be sure'는 문장을 수식하는데, 이것은 문장의 이나 중간,

그리고 에 독립적으로 쓰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 To be sure, the new data complicate matters for you.

 

b. The new data, to be sure, complicate matters for you.

 

c. The new data complicate matters for you, to be sure.

 

Q : 위에서 to be sure'surely (분명히)' 의미하는데, 부정사가 문장을 수식할 때는 주로 이런 식으로

문장을 수식하나요?

 

A : 이렇게 부사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것에는 'to tell the truth (솔직히 말해서)' 같은 것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것들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문장 d-e에서처럼 부정사는 '조건'이나 '양보'

의미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d. To meet you, he will tell the truth because he believes you.

    (너를 만나면, 그는 너를 믿기 때문에 진실을 말할 것이다)

 

e. To meet you, he won't tell the truth because he doesn't believe you.

   (너를 만나더라도,  그는 너를 믿지 않기 때문에 진실을 말하지 않을 것이다)

 

여기에는 똑같은 부정사 To meet you가 나오지만, 문장 d의 경우 will tell'결과'를 의미하기 때문에

이 부정사는 '너를 만나면' 같이 해석되어 '조건'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문장 e의 경우는 won't tell'너를 만나는 것과 관계 없다는 것' 암시하기 때문에 '양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렇게 부정사가 문장을 수식하는 경우도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문맥을 잘 분석하고

부정사를 해석해야 합니다.

 

'부정사'가 '동사' 수식하는 경우

 

Q : 부정사가 동사를 수식할 때 어떤 의미를 나타내나요?

 

A : 여러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데, 가장 대표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Q : 이런 의미들이 나타나는 예에 어떤 것들이 있나요?

 

1. '목적'을 나타내는 경우

 

A : 우선 '목적'을 나타내는 경우를 보기로 합니다. 다음 문장 a에서 부정사 to order some flowers

어떤 여성이 꽃가게에 들린 '목적'을 나타냅니다. 마찬가지로 문장 b에서 부정사 to see이하는

친구와 함께 어제 그 가게에 간 '목적'을 나타냅니다.

 

a. A woman stopped at a flower shop to order some flowers.

 

b. I went to the shop with my friend  yesterday to see a fortune-teller.

 

이렇게 '목적'나타내는 경우 대개 문장의 뒤에 나오지만,

다음 문장 c-d처럼 강조하기 위해서 부정사가 문장의 에 독립적으로 나오기도 합니다.

그래서  To reserve a copy of the bookTo be successful과 같은 부정사들이 '문장'을 수식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부정사들은 뒤에 나오는 동사 'go''choose'와 연결된 것으로

이 동사들의 '목적' 나타낸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c. To reserve a copy of the book, you must go to Room 212.

 

d. To be successful, you must choose a specific area and concentrate on it.

 

또 하나 유의할 점은 이렇게 '목적'을 나타내는 경우, 그 의미를 좀 더 분명하게 하고 또 강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in order to, so as to, in an effort to같은 구문도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e. People have to read it and write it in order to learn it.


f. The Internet is designed so as to create a cyberspace.


g. The newspaper was published in Korea in an effort to educate the people.

 

2. '이유'를 나타내는 경우

 

Q : 부정사가 '이유'를 나타내는 경우는 '목적'과 별로 차이가 없지 않나요?

 

예를 들면, 다음 문장 a에서 부정사 to order 이하는 어떤 여성이 꽃가게에 들린 '이유'를 나타내고,

문장 b에서 to see 이하는 내가 그 가게에 간 '이유'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지 않습니까?  

 

a. A woman stopped at a flower shop to order some flowers.

 

b. I went to the shop with my friend  yesterday to see a fortune-teller.

 

A : '목적''이유'는 다른 의미입니다. 왜냐면 이 2개의 개념은 '사건의 순'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목적과 이유를 나타낼 때 사건의 순서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먼저 위 문장 a-b의 경우 stoppedwent가 먼저 일어나고 그뒤에 to orderto see가 나타내는

사건이 일어납니다.

 

그러나 다음 문장들을 보십시오. 문장 h의 경우 그녀가 즐겁게 미소를 짓게 된 것은 그녀의 아들이

그 시합에서 이긴 것을 알고 난 다음이었습니다. 문장 i에서도 그의 어머니가 돌아온 소리를 듣고

밖으로 나가게 됩니다.

 

h. She smiled gaily to find that her son finally won the game.


i. He ran out to hear that his mother came back.

 

이렇게 부정사가 나타내는 사건이 먼저 일어난 경우 이 부정사는 '이유'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그러나 문장 a-b는 사건 전개 순서가 이것과 다르기 때문에 '목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이런 현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해서 표로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문장

 먼저 일어난 사건

 나중에 일어난 사건

 의미

 a

 b

   stopped

   went

   to order some flowers

   to see a fortune-teller

 목적

 h

 i

   to find that her son ...

   to hear that his mother ...

   smiled

   ran out

 이유

  

 

3.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

 

Q : 부정사가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A : 이런 해석을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문장에 나오는 '사건의 순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 문장 j에서 to be ninety five (95세가 된 것)'목적'이나 '이유'가 될 수는 없습니다.

왜냐면 인간은 마음대로 수명을 조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j. His grandfather has lived to be ninety five.


k. Since it manufactured its first car in 1955, Korea has grown to be

    the sixth largest automobile producer in the world.

 

래서 이 문장에서 부정사는 오래 살아서 95세가 된 '결과' 나타냅니다.

문장 k도 한국이 1955년 첫번째 자동차를 생산한 이후 성장해서, 이제 세계에서 6위의 자동차

생산국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도 부정사는 '결과'를 나타냅니다.